문재인 대통령이 조만간 개각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여당 내에서 현역 의원들의 입각설이 제기되고 있다. 임기 후반기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정부가 개혁과제를 효과적으로 추진,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공무원 출신 인사보다 정치인이 적절하다는 분위기가 나오고 있다.
23일 더불어민주당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정기국회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 개정안 등이 처리된 후 개각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내부적으로 감지되고 있다. 당내에서는 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부동산 시장 불안정으로 들썩이는 민심을 다잡고 개혁과제의 추진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무감각 등을 갖춘 ‘중진 의원 카드’를 뽑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태년 원내대표(4선, 성남 수정)도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 시점은 5년 임기를 마무리할 시점으로 보면 안 된다. 새로운 봉우리로 간다는 생각으로 당정이 국정을 운영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는 정치인 출신이 열정과 책임을 갖고 일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의원 입각’에 힘을 실었다.
이에 따라 교체 대상으로 떠오른 국무위원 자리에 특정 인물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경기지역의 경우 중진 의원이 많아 지역 정가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당내 대표적인 정책통으로 당 정책위의장·사무총장 등을 경험한 윤호중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구리)과 ‘친문 핵심’인 전해철 국회 정보위원장(안산 상록갑)의 입각설이 나온다.
전해철 위원장은 참여정부 시절 민정비서관으로 일하며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문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또 문 대통령이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자리를 옮겼을 땐 문 대통령의 후임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냈다. 전 위원장의 경우 문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알고 있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로 공석이 된 법무부 장관 후임에도 거론되는 등 줄곧 입각설이 제기돼 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교체될 경우 조정식 의원(시흥을)의 입각 가능성이 제기된다. 조정식 의원은 당 정책위의장, 국회 국토교통위원장 등 주요 직책을 두루 지낸 바 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경우 유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부동산 정책에 대한 민심 악화로 1차 개각에 포함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만약 이 경우 조정식 의원이 기용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임으로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을 지낸 안민석 의원(오산)이 꼽힌다.
이밖에 여성가족부 장관 후임은 남인순 의원이, 고용노동부 장관에는 노동계 출신 한정애 의원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