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정규직 전환 및 자회사 대표 선임 등 현안해결 ‘지지부진’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사장 공백 장기화로 정규직 전환과 자회사 대표 공모 등 주요 현안 해결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5일 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공항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은 지난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선언 이후 3년이 지나도록 매듭을 짓지 못하고 있다. 또 6월 인천공항 비정규직 근로자 중 보안검색요원 약 1천900명을 청원경찰 형태로 직접 고용하는 문제도 5개월이 지나도록 진척이 없다.

이들 보안검색요원은 공항공사,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자, 전문가 등으로 이뤄진 노사전협의회의 합의문 등에 따라 지난 5~7월 자회사인 인천공항경비㈜로 자리를 옮긴 상태다.

이들 현안 사항 모두 사장 공백에 의해 멈춰선 상태다. 앞서 지난 9월 국토교통부는 구본환 전 사장을 해임했다. 공항공사측은 사장 공백으로 노·사간 합의를 위한 노사전협의회 등을 추진할 수 없어 이들 보안검색요원의 직접고용을 미룰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공항공사는 코로나19에 따른 재정난에 대해서도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정부의 재정 지원을 이끌어 낼 사장 자리가 공석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재정 지원 없이 공항공사는 당장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항공·여객수요가 크게 줄어든 탓에 연말까지 1조6천894억원의 공사채를 발행한 이후 2024년까지 해외채권 등 약 10조원의 공사채를 추가 발행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공항공사의 일부 자회사 대표와 임원 등도 지난 9월에 임기가 끝났지만 새로운 대표·임원을 뽑지 못하고 있다. 자회사 임원에 대한 공모절차 결정권이 사장에게 있는 탓이다.

이처럼 사장 선임이 시급한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공항공사는 지난 6~13일 임원추천위원회를 통한 사장 후보자 공모로 3명의 지원자를 받았지만, 이 중 2명의 지원자가 자격조건을 갖추지 못해 현재 재공모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공항공사 관계자는 “다음달 10일까지 사장 재공모를 통해 2~3명의 후보자를 선정하고 기재부 공공운영위원회에 추천할 예정”이라며 “사장 공백에 따른 업무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 연내 선임을 목표로 신속히 공모를 추진하겠다”라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