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에 무분별하게 버려진 폐의약품이 토양·수질 등을 오염시키고 있다.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폐의약품은 종이나 플라스틱 등의 약품 포장재를 분리한 후 가까운 약국이나 보건소에 가져가 폐기해야 하지만, 대부분 쓰레기통이나 하수도에 버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폐의약품을 종량제봉투에 담아 버리거나 싱크대 등을 통해 하수도로 배출하면 항생물질 등이 토양·하천에 남아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경고한다. 또 남아있는 약품을 진단없이 섭취하는 약물오남용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올해 인천(인구 294만명)에서 수거한 폐의약품은 1만957㎏에 그친다. 이는 인구 3분의 1수준의 경상남도 창원(인구 103만명·1만1천655㎏)보다도 적다. 인천시민 1인당 1년 폐의약품 평균 수거량은 3.7g으로, 창원(11.3g)의 3분의 1수준이다. 인구수가 4분의 1수준인 경기 안양(수거량 5천670㎏)과 1인당 1년 수거량(10.3g)을 비교해도 3분의 1토막 수준이다.
기초자치단체별 1인당 폐의약품 수거량 하위 3개 구는 인천 옹진군(0.63g), 미추홀구(1.5g), 서구(1.8g)다. 옹진군은 주민 1인당 1년에 1알(600㎎) 정도의 알약만 제대로 폐기하는 셈이다.
수거량이 저조한 건 지방자치단체와 약국 등이 폐의약품 홍보와 수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약국은 반납이 어렵다는 등의 이유로 폐의약품을 아예 받지 않거나 알약 등 일부 약품만 골라 받고 있다.
폐의약품 처분에 관한 홍보물이 없는 것은 물론 일부는 폐의약품 수거함을 손님의 눈에 띄지 않게 매장 뒤에 숨겨 두기도 한다.
남동구의 약국 소속 약사 A씨(41)는 “보이는 곳에 수거함을 두면 고객들이 약을 막 버려서 오염되고 포장도 일일이 분리해야한다”며 “수거함을 뒤로 빼놓고 요청하면 수거해 보관하고 있다”고 했다.
미추홀의 약국 소속 약사 B씨는 “폐의약품을 거두면 우리가 직접 보건소에 가져다 줘야한다”며 “일도 많은데 너무 번거로운 탓에 지금은 받지 않고 있다”고 했다.
폐의약품 수거량이 비교적 많은 창원은 수거함을 매장 전면에 배치하고 약국은 폐의약품을 약품 도매업체를 통해 매일 배출한다.
류길수 창원시약사회장은 “인천에서 제도가 자리 잡으려면 지자체가 앞장서 약사회, 업체 등과 긴밀히 공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인천시는 대한약사회 인천지부와 폐의약품 수거 문제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인천약사회와 해당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폐의약품 홍보 등 문제에 관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대답을 받았다”며 “약국 등 수거시설에 스티커, 안내문 등을 부착해 폐의약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예산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관계기관과 협의할 것”이라고 했다.
강우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