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자주 보는 방송에 다양한 자막과 신조어들이 많은 흥미를 끌어낸다. 나는 꿈이 방송 PD라서 TV프로그램을 접하면서 방송자막도 신중하게 보고 있다. 그런데 비표준어가 사용되거나 혐오 표현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등 모든 연령이 시청하는 방송에서 부적절하다고 느껴지는 점이 많았다.
먼저 비표준어 사용이다. 비표준어를 방송에서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면 그 방송을 보는 사람들은 잘못된 정보를 습득하게 되고, 비표준어를 인지한 사람들은 오타를 범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불신하게 된다. 그 예시로 SBS ‘런닝맨’에 나왔던 자막 중 ‘목 기브스 한 것 같아’라는 자막이 있었다. 여기서 ‘기브스’는 깁스를 나타내지만 석고붕대를 일컫는 깁스는 독일어로, 올바른 외래어 표기는 ‘깁스’이다. 공중파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비표준어를 자막으로 내보낸 것이다.
다음으로는 혐오 표현이다. 혐오 표현은 자막뿐만 아니라 출연진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오기도 한다. 이런 혐오 표현을 방송에서 남발하게 되면 출연진들의 기분이 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청자로서 바라볼 때도 마냥 기분이 좋지 않다. 또한 어린아이들이 그 방송을 보고 혐오 표현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하고 남발할 가능성이 있다. 요즘은 혐오 표현이 방송에서 줄고 있지만 불과 5~6년 전만 해도 여자 개그우먼에게 비호감이라는 말을 서슴없이 뱉거나 외모 비하가 매우 심각했다. 앞으로 방송에서 혐오 표현은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신조어다. 신조어는 방송에서 만들어지기도 하고, 친구들끼리 지내다가 생성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신조어에는 다른 사람들과 두루 어울리는 ‘인싸’ 그리고 그의 반대인 ‘아싸’가 있다. 이런 신조어는 점차 방송에도 자주 등장하는 신조어지만 여전히 높은 연령층에서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단어다. 그리고 다른 신조어로는 ‘탈룰라’가 있는데 이는 상대방의 가족을 실수로 욕되게 한 뒤 재치있게 상황을 무마하는 것을 일컫는데, 이는 영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런 유래를 설명하지 않으면 높은 연령층이 아니더라도 이해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방송에서 이런 신조어를 사용할 때에는 정확한 뜻을 표기해야 한다.
최은서 수원 대평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