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조사를 통해 선감학원 피해자들의 인권 유린 실태가 드러난 가운데 이재강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방문, 조속한 진실 규명을 당부했다.
이 부지사는 10일 진실화해위원회를 찾아 선감학원사건 피해자신고센터를 통해 접수한 피해자 명단과 원아 대장을 위원회에 제출했다. 또 김영배 피해자 대표와 함께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을 만나기도 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2005년 5월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기본법이 통과됨에 따라 그해 12월 설치된 독립적 국가기관으로 2010년까지 활동했다. 이어 지난 5월 국회에서 진상조사위원회를 재가동해 일제강점기 이후부터 권위주의 통치 시기까지 인권침해 사건에 대해 진상을 규명하게 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이날부터 활동을 재개했다.
이 부지사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편지를 정 위원장에게 전달했다. 이재명 지사는 서한문에서 “위원회 활동을 통해 완결하지 못한 과거사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고 국민통합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라며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경기도 조사 내용을 토대로 선감학원의 진실 규명과 피해자ㆍ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힘써주시길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에 정근식 위원장은 “선감학원사건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며 “피해자들의 연세를 고려해 되도록 빠른 시일 내에 조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 조선소년령 발표에 따라 안산시에 설립된 감화원이다. 그러나 해방 후에도 폐원되지 않고 부랑아 갱생과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도심 내의 부랑아를 강제로 격리ㆍ수용했다. 도는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열고 폭행, 성폭력, 강제노역 등 피해사례 현황과 퇴소 후 피해자들의 어려운 생활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이재강 부지사는 오는 15일 오후 2시 파주시 임진강 통일대교 남단에서 북단까지 0.9㎞ 구간 삼보일배(三步一拜) 한다. 이는 16년 전 개성공단 첫 제품 생산을 기념하고 개성공단 가동 재개를 촉구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 부지사는 유엔사의 승인이 나오지 않아 도라전망대 집무실 설치를 못 하는 것과 미국의 제재로 개성공단이 열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삼보일배를 통해 부당한 현실을 규탄할 방침이다.
김창학ㆍ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