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검찰총장 징계를 둘러싼 여야의 신경전이 17일에도 이어졌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검찰총장을 향해 자진사퇴를 거듭 압박하는 한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사의 표명을 추켜세웠고,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윤 총장 징계 재가를 겨냥, 비판 수위를 높였다.
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성남 수정)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사의를 표했다. 검찰 개혁에 대해서 강력하게 추진해 주셨는데 결단에 대해서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의 특권을 내려놓고 국민의 검찰로 나아가는 개혁은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검찰도 새롭게 출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안민석 의원(오산)은 BBS 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윤 총장이 스스로 거취를 정할 것 같지 않고, 대통령과 한판 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 같다”며 “검찰 개혁을 바라는 국민과 대통령을 이길 수 없을 것이다. 윤 총장은 결국 자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익표 의원은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추 장관 사의 표명은) 굉장히 정치적으로 잘한 결정이다. 여당 대표를 지내신 정치인다운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김기식 전 의원 역시 KBS 라디오에 “윤 총장이 물러난 뒤에도 징계의 부당함을 다툴 수 있다”며 자진 사퇴를 주장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윤 총장 징계에 대해 ‘억지’라고 비판하는 동시에 추 장관의 사의 표명을 평가절하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직후 기자들에게 추 장관의 사의 표명에 대해 “이제 추 장관의 임무가 다 끝난 모양”이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윤석열 징계는 아주 억지로 만들어낸 징계”라며 “이제 윤 총장이 행정법원에 집행정지 신청을 한다는데, 대통령과 현직 총장이 법정에서 맞서는 모습이 국가적으로 창피하다”고 말했다.
정원석 비대위원은 “윤 총장에 대한 추 장관의 징계안을 재가한 순간, 문재인 대통령은 이제 윤석열과 1대1 싸움에 돌입했다”며 “스스로 윤석열과 동급이 되길 자처하니 국민의힘은 ‘팝콘각’(매우 볼만한 상황)”이라고 비꼬았다.
정진석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정부·여당을 겨냥, “없는 죄를 뒤집어씌워 국정을 농단한 죄, 회초리로 다스리나 육모방망이로 다스리나, 민심의 분노와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하태경 의원도 “문 대통령이 스스로 적폐가 됐다”며 “이번 윤석열 징계 재가는 문 대통령이 스스로 적폐의 몸통임을 자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