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일선 시ㆍ군과 함께 ‘경기지역화폐 공동 운영기관(가칭)’ 설립을 추진한다. 지역화폐가 도내 전체 발행되는 가운데 정책 활성화ㆍ안정화 등을 위해 컨트롤타워를 별도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경기도는 운영기관 설립 준비를 위한 도-시ㆍ군 실무협의체를 구성ㆍ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앞서 지난 10월 성남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도-시ㆍ군 정책협력위원회’에서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는 경기지역화폐 활성화 및 안정적인 발행체계 마련을 위해 도에 ‘경기지역화폐 공동 운영기관’ 설립을 제안한 바 있다. 도와 시ㆍ군이 참여하는 별도 기구를 통해 지역화폐 정책 수립, 지역화폐 발행 규모 등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자는 내용이었다.
이에 도는 공동 운영기관을 통한 지역화폐 발행ㆍ유통 관리 총괄, 지역화폐 운영 자금에 대한 안정성 확보, 운영수익의 재투자 등을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실무협의체에는 성남시를 제외한 30개 시ㆍ군 담당자가 참여한다. 성남시는 자체 플랫폼 운영 등의 사유로 불참 의사를 전했다. 실무협의체는 오는 18일 열릴 첫 영상회의를 시작으로 정기(월 1회) 및 수시 회의와 경기지역화폐 민간자문단 의견 등을 종합해 공동 운영기관의 설립형태, 운영방법, 주요 기능 및 역할 등 설립방향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지역화폐의 정책효과성 제고와 지역화폐의 보편적인 소비수단정착을 위해서는 도-시ㆍ군 간 협력과 소통이 필수 조건”이라며 “실무협의체를 통해 공동운영기관 설립논의와 함께 지역화폐의 거시적인 발전방안이 제안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도지사는 ‘도-시ㆍ군 정책협력위원회’ 당시 “도와 각 시ㆍ군이 재난기본소득과 재난지원금을 지역화폐로 지급해 소비를 촉구하는 선도적ㆍ복지적 경제정책을 시행했는데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전국에 모범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느낀다”며 “소비 촉진 효과와 골목상권 진흥이라고 하는 (지역화폐의) 경제 효과가 확실하기 때문에 우리(지방정부)가 중심이 돼서 지속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장건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