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를 거부한 의대생들을 위해 내년 하반기로 예정된 실기 시험을 상·하반기로 나눠 2차례로 치르기로 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고, 지난 22일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까지 국내로 유입됨에 따라 의료인력 공백 방지를 위한 조치다.
보건복지부는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2021년도 의사 국시 시행 방안과 관련해 “내년 의사 국가고시 실기 시험을 상·하반기로 나눠 2회 실시하기로 하고, 상반기 시험은 1월 말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내년 응시 인원 3천200명에 올해 응시 취소자 2천700여명이 한꺼번에 실기 시험을 진행해야 함에 따라 시험 기간 장기화 등 의 운영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이다.
다만 복지부는 의대생들에게 추가 시험 기회를 주되, 올해 응시자와는 차이를 두기로 했다.
올해 실기 시험 응시자에게는 내년 1월에 인턴으로 배정을, 내년 상반기 응시자는 합격 이후인 3월께 각각 배정한다는 계획이다.
이기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국민 여러분께 혼란과 불편을 드려 매우 죄송하다”면서 “공공 의료 강화 대책의 차질 없는 시행, 필수 의료 인력에 대한 의료계와 협의 진전, 의료 취약지 지원 등을 위해 내년도 시험을 조속히 시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전국 의대 본과 4학년생들은 지난 8월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해 의사국시를 거부했다. 정부와 여당, 의료계가 지난 9월 ‘의정협의체’ 구성 등을 골자로 한 합의에 이르렀지만, 학생들은 두 차례의 재접수 기회에도 시험을 거부했다. 결국 응시 인원 3천172명 가운데 최종 423명만이 시험을 치렀다.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