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의 도전에 경기일보가 함께하겠습니다!

“건강하소ㆍ힘내소, 경기일보가 함께하겠소”

2021년 신축년(辛丑年)의 첫해가 떠올랐다. 코로나19라는 긴 어둠 속에서 맞은 새해 아침. 어느 해 보다도 희망찬 소식이 들여오길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새해 가장 듣고 싶은 소식은 ‘코로나19 종식선언’이다. 경기일보 독자들에게 들어 본 새해 소망 역시 ‘경로당이 다시 문을 열 수 있기를’ㆍ‘관객이 있는 공연을 할 수 있었으면’ㆍ‘올림픽이 열리길’ㆍ‘친구와 함께 학교에 가기’ 등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일상으로 복귀하자는 내용이 많았다.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스한 봄을 맞이하듯, 코로나19라는 고통도 반드시 끝난다. 그러나 새롭게 맞는 일상은 이전과는 다를 것이다. 그래서 오늘 맞이한 2021년이 중요하다. 올 한 해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다가올 미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먼저 내년 치러질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과 국민은 올 중반 후보자를 선택해야 한다. 국민은 새로운 리더가 주저앉은 경제를 되살릴 수 있는 비전과 양쪽으로 갈라진 국민을 하나로 묶어줄 포용력을 보여주길 기대하고 있다. 특히 무너져버린 공정과 신뢰라는 가치를 회복시켜주길 바란다.

완전히 달라질 지방자치 시대도 준비해야 한다. ‘특례시’와 ‘자치경찰제’ 등 기존의 지방자치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제도의 기틀이 올해 완성된다. 특례시 출범 놓고 벌어지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이견을 슬기롭게 조율해야 한다. 자치경찰에 대한 국민적 불안을 해소시키고 신뢰를 줄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경제분야 역시 새로운 변화에 대한 준비가 불가피하다. 수출 길은 닫혀 버렸고, 내수경제는 얼어붙었다. 이러한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경기도는 새해 화두로 ‘경제적 기본권’을 꺼내 들었다. 공동체 전체가 함께 일군 사회적인 부를 나누어 누구나 인간다운 최소한의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기본소득과 기본주택, 기본대출 등의 정책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미래를 위한 준비는 늘 도전의 연속이다. 그러나 ‘우보만리(牛步萬里)’라고 했다. 우직하게 걷는 소가 만 리를 가듯 인내하며 끝까지 나아가야 한다.

신축년은 하얀 소의 해다. 하얀 소는 예로부터 신성한 기운을 가지고 있다고 전해져 왔다.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혼란과 고통 속에서도 새로운 미래를 위해 도전의 걸음을 멈추지 않는 독자들에게 올 한 해는 복되고 길하길 소망한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