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인천연안 연안오염관리 대상 포함
해양수산부가 인천 앞바다를 ‘연안오염총량관리’ 대상에 포함해 해양 쓰레기 줄이기에 나선다.
해수부는 4일 발표한 ‘제5차(2021~2030년) 해양환경 종합계획’을 통해 인천연안을 연안오염총량관리 대상에 포함했다.
연안오염총량관리는 오염이 심각한 해역을 개선하기 위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오염물질의 총량 등을 규제하는 제도이다.
해수부는 환경관리해역 중 특별관리해역인 인천연안의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이번에 대상에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이미 연안오염총량관리 중인 마산만, 시화호, 부산, 울산연안 등과 함께 2030년까지 해양플라스틱 쓰레기를 절반으로 줄인 다는 계획이다. 항만 미세먼지 배출량도 2030년까지 70% 이상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환경관리해역에 대한 관리 계획 수립과 연도별 평가를 지자체 주도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지자체와 시민 등의 참여를 이끌어 관리 효율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인천시도 해양환경 종합계획 등에 맞춰 올해 국비 등 99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10개의 해양환경 사업을 벌인다.
시는 환경부가 주도하는 주민공공근로 방식의 해안가 쓰레기 수거와 부유 차단막 운영, 바다 쓰레기 정화, 해양환경정화선(인천 시클린(Sea Clean)호) 운영 등을 할 계획이다. 해수부와 함께하는 침적 쓰레기 정화, 바다 환경 지킴이 지원, 해양 쓰레기 집하장 설치, 폐스티로폼 감용기 지원 등에도 나선다.
해수부는 지자체와 함께하는 사업 등을 통해 2019년 54% 수준인 전국 1등급 해역비율이 2030년에는 73%로 늘 것으로 내다봤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해양의 가치를 높이고 국민들이 쾌적하게 바다를 이용하도록 초점을 맞춰 계획을 만들었다”며 “앞으로 10년간 이번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