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24ㆍ홈택스 등 주요 공공웹사이트 민간 전자서명 도입

오는 13일부터 공공웹사이트에서도 카카오ㆍPASS 등과 같은 민간전자서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13일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 서비스’에서 처음으로 공동인증서와 함께 민간 전자서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11일 밝혔다.

오는 15일에는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국세청), 오는 29일부터는 국민신문고 ‘민원?제안 신청 서비스’(국민권익위원회)에도 적용된다.

민간 전자서명은 기존의 공인인증서와 달리 매년 갱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발급·인증 절차도 보다 간편하여 국민의 이용편의성이 향상될 전망이다.기존의 공동인증서 외 민간 전자서명인 일명 ‘간편인증’을 이용하려면 사전에 시범사업자의 모바일 앱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행안부는 오는 13일부터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 서비스에 민간 전자서명을 적용하고 3월 말에는 ’정부24‘ 전체 서비스에 전면 적용할 예정이다.

국세청도 오는 15일 민간 전자서명을 적용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홈택스’ 홈페이지(누리집)에 개설ㆍ운영한다.

권익위도 온라인 국민참여포털인 ‘국민신문고’에 국민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간편인증 로그인 서비스’를 오는 29일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민들이 다양한 전자서명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전자서명인증의 안전성, 신뢰성 및 보안성 등을 확인해 주는 전자서명 평가·인정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

행안부는 이번 시범사업 이후에도 국민이 더 많은 공공웹사이트에서 다양한 민간 전자서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자서명인증업무 운영기준 준수사실 인정’을 받은 전자서명인증사업자들을 추가로 수용하여 공공부문 전반으로 민간 전자서명 이용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