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코로나19 확진자 10명 중 5명이 방역수칙을 무시한 집단감염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교·요양·유흥시설 등의 집단감염이 2차 단순 감염을 다시 부르는 코로나19 확산의 주범이다.
12일 본보가 지난 9일 기준 인천의 코로나19 전체 확진자 3천366명을 분석한 결과 인천의 코로나19 확산은 대부분 집단감염이 먼저 주도하면 그 이후에 단순 지역 내 감염이 잇따르는 모습을 보인다. 인천의 전체 확진자 중 집단감염자 수는 총 1천669명으로 51%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집단 감염 유형별로는 종교시설 관련 확진자가 338명으로 가장 많았다. 또 요양시설과 의료기관 등에서도 280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특히 서구의 한 요양원의 종사자가 마스크를 쓰지 않아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이 밖에 직장 관련 확진자자 221명, 유흥업소 158명 등이다.
같은 집단감염이라도 방문자 추적이 어려운 유흥시설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이 어려운 요양시설·의료기관 등도 집단감염에 취약했다. 유흥시설과 요양시설·의료기관 1곳에서 각각 26.3명, 25.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는 종교시설 1곳에서 22.5명, 직장 1곳에서 14.7명의 확진자가 나온 것보다 높은 수치다.
지난해 11월 30여명의 집단 감염을 부른 연수구의 유흥업소발 집단감염도 확진자가 역학조사 과정에서 동선을 숨기는 등 방역당국의 조치를 무시한 탓이다.
다만 11월 3차 대유행 이전과 이후의 코로나19 확산 양상은 차이가 있다. 3차 유행 이전 인천의 코로나19 확산은 집단감염이 주도했다. 하지만 집단감염에 따른 확진이 이어지면서 11월 이후에는 집단감염보다 개인별 접촉에 따른 확진자 증가가 늘었다.
지난 10월 31일까지 인천의 코로나19 확진자 1천49명 중 집단감염은 732명으로 전체의 약 69%다. 하지만 11월부터 지난 9일까지의 집단감염은 937명으로 전체 2천317명의 약 40% 수준으로 떨어진다. 대신 같은 기간 전체 확진자 중 지역 내 감염과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에서 56%로 크게 늘었다.
김경우 인제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인천은 전체적으로 집단감염이 코로나19 증가를 이끌었지만 3차 대유행 이전과 이후의 성격은 다르다”고 했다. 이어 “인천도 본격적으로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 영향을 받기 시작한 11월부터는 개인 간 접촉에 따른 코로나19 확산이 주도적인 특성을 보인다”고 했다.
한편, 지역별로는 부평구와 남동구, 서구 계양구 등 서울, 경기와 경계를 맞닿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확진자가 많은 특성을 보인다. 부평구에서는 773명의 확진자가 나와 인천의 기초지자체 중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왔으며 남동구와 서구도 각각 615명, 612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뒤로 미추홀구 387명, 계양구 369명, 연수구 360명, 중구 134명, 동구 57명, 강화군 57명 순이다. 옹진군에서는 아직 1명의 확진자도 나오지 않았다. 계양구에서는 369명의 확진자가 나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인구대비 확진율로 따지면 0.12%로 부평구(0.15%) 다음으로 높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