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조치 비협조에 개인별 방역수칙 소홀 집단감염 부른다

인천지역 코로나19 집단감염의 원인은 방역당국의 초동조치를 무력화하는 확진자들의 거짓말과 방역수칙 위반이다.

12일 시에 따르면 집단감염이 발생한 유흥시설 1곳당 평균 집단감염자 수는 26.3명이다. 이는 전체 집단감염 유형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이 같은 양상은 코로나19 확진자들이 역학조사 과정에서 유흥시설 방문 사실을 숨기는 등 방역당국에 협조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11월 41명의 집단감염을 초래한 연수구의 유흥시설 관련 감염은 해당 시설을 방문한 해경 소속 공무원이 확진 판정 이후 역학조사에서 동선을 속인 것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방역당국은 첫 확진자 발생 후 48시간이 지날 때까지 유흥시설 관련 대처를 하지 못 했다.

지난해 5월 이태원클럽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학원강사는 동선과 직업 등을 속여 81명의 집단 감염을 유발했다. 방역당국의 역학조사에 협조하지 않아 초동조치에 실패했을 때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유흥시설 다음으로 평균 집단감염자가 높은 요양원과 의료기관은 개인별 방역수칙 소홀이 집단감염의 주요 원인이다. 서구는 최근 지난 20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서구의 한 요양원 집단감염 원인을 종사자와 입소자의 마스크 착용 소홀 때문으로 결론냈다. 폐쇄회로(CC)TV 등을 분석했을 때 종사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일하는 모습 등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이 요양원에서는 2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방역당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개인별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길이라고 말한다.

김경우 인제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처음 의료기관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는 집단감염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적었는데 요즘은 많은 수의 확진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마스크 착용 및 주기적인 손 씻기 등 개인별 방역수칙 준수에 신경 써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역학조사에서도 동선을 숨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