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올해 ‘어린이집 관리시스템’ 사용률을 전체 어린이집의 80%까지 끌어올린다.
시는 지난해 말 기준 지역 내 어린이집 1천943곳 중 759곳(39%)이 관리시스템을 도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해 8월 어린이집 회계의 투명성과 보육행정의 편의성을 높이려 관리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당초 지난해 목표인 30%를 초과 달성한 수치다.
시는 지난해 국공립·공공형·인천형 어린이집을 도입대상으로 하고 민간·가정 어린이집은 자율참여를 유도했다. 그 결과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적극적인 참여로 당초 목표보다 높은 성과를 낸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일부 어린이집들이 관리시스템 도입에 부정적 시각이 있었지만, 시는 어린이집연합회와 업무협약을 하고 어린이집의 자율적인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 냈다. 또 협의체를 구성해 분기별 간담회를 통해 의견 수렴 및 개선안을 반영한 점도 사용률을 높인 이유 중 하나다.
특히 시는 올해 전체 어린이집의 80%까지 관리시스템 도입할 방침이다. 또 관리시스템의 조기 정착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 등 실사용자의 의견을 적극 모아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시는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관리시스템의 장점 등에 대한 적극 홍보에도 나선다. 이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 연간 60~150만원이 드는 회계대행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카드와 통장 잔액에 대한 적립금 환원 등으로 재정적 지원 효과도 크다.
보건복지부 보육통합정보시스템과도 자동 연계, 스마트한 회계업무 처리가 가능하다. 보육전문상담원 헬프데스크 운영(원격지원), 문자 자동완성 기능, 인천시 보고문서 표준화, 월 회계내역 검증기능, 교직원 관리를 위한 추가 메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시는 어린이집들이 관리시스템을 80% 이상 사용하면 회계서류의 디지털화도 가능하다고 보고있다. 또 시스템에 모인 데이터를 활용해 어린이집 예산 지원 등 정책결정에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진숙 여성가족국장은 “어린이집 관리시스템은 어린이집의 운영을 보다 쉽고 투명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관리시스템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