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로 전락한 빈집→임대주택 공급…경기도 올해 시행

▲ 방치된 빈집
▲ 방치된 빈집

경기도가 흉물로 전락한 빈집을 정비해 임대주택ㆍ공공시설로 활용하는 빈집정비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경기도는 올해 ‘빈집정비 지원사업’과 ‘경기도형 빈집 활용 시범사업’을 추진해 도시 내 빈집 정비에 나설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도는 빈집 전수 실태조사를 이달 중 마무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빈집 정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고양ㆍ구리ㆍ부천ㆍ용인 등 10개 시는 현재 계획 수립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시의 계획 수립도 연내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빈집정비 지원사업’은 13억2천500만원(도비 30%, 시비 70%)의 예산을 투입한다. 도는 계획수립이 완료된 수원ㆍ용인ㆍ고양ㆍ이천 등 4개 시 빈집 86가구를 대상으로 철거ㆍ보수ㆍ안전조치를 지원해 임대하거나 공공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빈집 철거 시에는 최대 1천만원까지 비용을 지원하며, 철거 후 공공활용 시에는 2천만원까지 지원을 확대한다. 보수를 할 경우에도 최대 1천만원을 지원(공공활용 최대 3천만원)하며, 안전조치 비용은 600만원까지 지원한다. 도는 매년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경기도형 빈집활용 시범사업’은 총사업비 65억원으로 경기주택도시공사가 남부ㆍ북부 각 1개소씩 빈집을 매입해 임대주택 및 주민 공동이용시설을 공급,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업이다. 현재 공모신청 접수 중이며, 참여를 원하는 도민은 빈집 소재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오는 22일까지 참여할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빈집은 총 5천132가구이며, 이 가운데 단독주택이 3천529가구로 69%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는 아파트(231가구), 연립(210가구) 등 공동주택에 해당한다. 도는 지난 2016년부터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ㆍ군을 대상으로 빈집 실태조사비와 빈집 정비계획 수립비를 지원하고 있고, 정비계획수립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배포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해왔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빈집 확산방지와 방치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며 “도민과 빈집 소유자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