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문 대통령 기자회견에 엇갈린 반응

여야는 18일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과 소통하려는 대통령의 노력이 돋보였다”며 극찬한 반면 국민의힘은 “‘통합’도 ‘소통’도 찾기 힘들었다”고 혹평했다.

민주당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코로나19로 전례 없는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과 소통하려는 대통령의 노력이 돋보인 회견이었다”며 “소통의 노력이 진정한 국민 통합과 국가 역량의 결집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 수석대변인은 이어 “국정 현안 전반에 대해 솔직하고 소상하게 설명했다.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책도 다양하게 제시했다”면서 “국민이 희망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의미 있는 기자회견이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국민에게 K-방역에 대한 희망을 보여줬다. 전 국민 백신 무료접종과 연내 집단 면역 형성을 위한 구체적 근거를 제시했다”며 “K-방역이 세계 최고의 모범 국가 위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초당적인 정치권의 협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반면 국민의힘 최형두 원내대변인은 “신년기자회견은 대통령의 소통 의지뿐 아니라 통합 능력을 보여주는 자리다”면서 “그런데도 전직 대통령 사면은 ‘국민들 공감대’에 미뤘다”고 지적했다. 특히 “백신 접종 시기와 집단면역이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오히려 빠를 것’이라는 대통령의 희망고문에 국민들 목은 빠질 지경”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또한 “내놓는 부동산 정책마다 실패했으면서, 이전 정부가 추진한 주택 공급인데 ‘주택 공급을 늘렸다’며 자신의 공으로 돌리고 부동산 수요억제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고집도 여전했다”고 질타했다.

김은혜 대변인(성남 분당갑)도 논평을 내고 “국민이 듣고 싶은 말보다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로만 채운 ‘허무한 120분’이었다고 혹평했다. 특히 그는 “정인이 사건 방지책은 결국 ‘교환 또는 반품’인 건지 궁금하다”며 “입양 부모의 마음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취소하거나 아동을 바꿀 수 있다는 대목에 이르러선 귀를 의심했다. 인권변호사였다는 대통령 말씀 그 어디에도 공감과 인권, 인간의 존엄은 없었다”고 질타했다.

정의당 정호진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주요 현안에 대해 대통령의 입장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면서 “그러나 몇몇 현안의 경우 때를 놓친 입장표명 등 뒤늦은 대통령의 등장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과 관련, “끝 모를 논란으로 국정 혼란이 야기됐을 때 국정 최고책임자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며 “수습책을 제시해야 할 때를 놓치고 이제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뒤늦은 대통령의 등장이다”고 평했다.

국민의당 안혜진 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민이 듣고 싶은 이야기보다 대통령 하고 싶은 이야기에 치중된 회견에 고구마로 점심을 먹은 듯 답답했다”면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은 물 건너간 느낌이다”고 비판했다. 안 대변인은 “지난해 국민께 가장 큰 원성을 듣고 국가를 곤두박질 치게 한 부동산 정책에 관해서도 실정에 대한 변명 일색이었다”고 지적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