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대응해 지난 1년간 경기도만의 방법으로 펼쳐온 ‘G-방역’이 도민들의 큰 호응을 얻으며 빛났다.
19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처음 발생했다. 도는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날 행정1부지사(당시 김희겸) 주재로 각 시군 부단체장 긴급대책회의를 열었다. ‘G-방역’의 첫 발걸음이 이때 시작됐다.
지난해 1월 상황은 급박했다. 코로나19 국내 확진 환자가 발생하기 시작하자 불안감이 팽배하면서 유일한 방어책이라고 여겨지던 ‘마스크 품귀 현상’이 펼쳐져서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마스크 사재기 행위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지시, 현장 점검이 즉시 동반됐다.
이같은 도의 조치는 마스크 수급 불안정 현상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2월과 3월에는 신천지發 코로나19 확산이 이어지면서 지역사회 전파 추세가 뚜렷해졌다.
도는 도민의 안전을 지키려는 비상조치로 도내 신천지 종교시설을 폐쇄하고 집회를 금지하는 긴급행정명령을 2월24일 단행했다. 또 도는 시설 폐쇄 및 집회 금지 등 조치를 어긴 이만희 신천지예수교 총회장 등 6명을 경찰에 고발조치 하기도 했다. 이 조치들 역시 조기에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도민 안전을 지키는데 일조했다는 평이다.
경기도만의 ‘경제방역’인 재난기본소득도 빛났다.
지난해 4월에는 전 경기도민에게 10만원씩 ‘재난기본소득’이 지급됐다. 특히 재난기본소득은 3개월이 지나면 소멸하는 지역화폐로 지급해 단기간에 전액 소비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가계지원 효과와 기업 및 자영업자의 매출 증대라는 이중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같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은 그 효과를 입증, 전국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했던 지난해 12월에는 병상 부족이 최대 이슈였다. 이에 병상 부족 사태와 관련해 민간시설에 대한 첫 긴급동원 조치가 내려져 경기대학교 기숙사가 동원, 병상 운영에 숨통이 트이기도 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