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소개] 경기도박물관 '우리 역사 속의 디아스포라와 경계인' 학술총서 발간

우리 역사 속의 디아스포라와 경계인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관장 김성환)은 경기인천 학술총서로 <우리 역사 속의 디아스포라와 경계인>을 펴냈다.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경계인 문제를 다양한 시각으로 짚어낸 책이다. 지난 2019년 5월 23일에 한국역사연구회와 인천문화유산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한 학술심포지움 ‘역사 속의 디아스포라와 경계인’에서 발표한 글을 모았다.

이번 발간서는 ‘경계인’들의 다중 정체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존중할 때 국제 네트워크도 확장 가능하다는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경계인들은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우리 사회에서 모국(母國)과 한국 사이를 오간다. 총 11편의 주제를 정해 우리 역사 속의 디아스포라와 경계인 문제를 다각도로 짚어냈다.

이영호 인하대 명예교수의 ‘근대 인천의 디아스포라와 경계인’, 장미애 가톨릭대 교수의 ‘4~6세기 백제에서의 중국계 이주민의 정착과 활동’, 이상록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의 ‘냉전시기 한국 사회의 화교 차별과 경계인으로서의 화교의 삶’, 금보운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의 ‘기지의 확장과 생활의 경계 : 경기북부ㆍ인천의 미군기지와 지역사회관계의 의미’ 등으로 구성돼 있다.

경기도박물관 관계자는 “국민국가라는 울타리에 갇혀 있었던 20세기 역사학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21세기 한국사 연구의 연구 시각을 새롭게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