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영 수원시장 “군 공항 이전사업 상당한 진척…사업 규모 20조”

염태영 수원시장이 21일 오전 온라인으로 신년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
염태영 수원시장이 21일 오전 온라인으로 신년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

염태영 수원시장이 신년 브리핑에서 ‘군 공항 이전사업’에 힘을 실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21일 오전 온라인으로 진행된 신년 브리핑에서 “군 공항 이전사업이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며 “수원지역 부동산 가치 상승과 함께 이전 대상지에 투입될 사업비 규모도 7조원에서 20조원까지 늘어났다”고 밝혔다.

70년 넘게 수원에 자리잡은 10전투비행단은 도시 활성화와 함께 수원시의 오랜 숙제로 꼽혔다. 고도 제한과 소음 문제 등으로 주민들은 피해를 호소했고 수원시는 2014년 군 공항 이전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다. 이후 2015년 타당성 승인을 받아 2017년 예비 이전후보지로 화성시 우정읍 화옹지구가 선정된 상태다.

수원ㆍ화성 군 공항 이전사업은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 사업자의 투자로 군 공항을 이전해 국방부에 기부채납한 뒤 기존 군 공항 부지에서 나온 개발 이익을 사업비용, 이전 대상지 지원사업에 투입하는 방식을 뜻한다.

앞서 화성시를 비롯한 이전 대상지 주민들의 반발로 이전사업이 답보에 빠지는 듯했지만, 염태영 시장은 이 같은 우려를 일축했다. 그는 “한때 지역주민들의 반대가 컸지만 현재는 찬반이 비등한 수준”이라며 “이전 대상지 주민들에게도 충분한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통합국제공항으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와 면밀히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신년 브리핑에서는 다양한 시정 현안에 대한 수원시의 구상이 발표됐다.

수원시는 경기도가 도민에게 10만원씩 지급할 예정인 재난기본소득 외에 코로나19 여파로 타격을 입은 계층을 대상으로 한 ‘핀셋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현재 300억원 규모의 재원을 마련 중이며 지원 업종이나 대상은 수원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정해질 예정이다. 지원 규모는 1인당 2~3만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최근 ‘정인이 사건’으로 화두에 오른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대책도 언급됐다. 시는 지난달 공무원과 경찰, 의사, 교육지원청, 아동보호전문기관 담당자 등이 모인 아동복지 심의 소위원회를 구성했다. 정인이 사건과 같은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 강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 통과로 ‘특례시’라는 명칭을 부여받은 만큼 2021년은 수원시 역사의 새로운 페이지를 쓰는 한 해로 기록될 것”이라며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수원특례시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삼고, 무거운 책임 의식으로 한 걸음씩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