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블루’ 심각, 심리회복지원단 적극 가동돼야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불안, 공포, 우울 등 많은 국민들이 심리적 불편을 겪고 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 확진됐다가 퇴원한 사람, 감염으로 가족을 잃은 사람, 자가격리자 등 1년 넘게 지속되는 코로나에 정신적 장애를 호소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강화되면서 심각한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ㆍ자영업자들 또한 경제뿐 아니라 마음까지 황폐화 됐다. 코로나로 인한 불안하고 우울한 심리현상은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심리 상담 및 치유가 절실한 이유다.

팬데믹의 터널에서 불편과 고통을 겪는 국민들의 ‘코로나 블루’를 치유하기 위해 정부가 심리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지난해 ‘중앙재난심리회복지원단’을 가동했다. 심리회복지원단은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들의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범정부 지원조직으로 구성된 협의체다. 지원단에는 의료·교육·심리·사회복지 분야의 전문가와 행안부·보건복지부·교육부·여성가족부·고용노동부 등 9개 중앙부처 국장급 공무원이 참여하고 있다.

17개 시·도에도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가 있다. 지원 대상자는 거주지역의 센터로 전화하면 심리상담과 심리적 응급처치를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지원 대상은 이재민과 일시대피자, 재난 현장에서 구호·봉사·복구 활동에 참여한 사람, 재난을 직접 목격한 사람 등으로 한정됐다. 하지만 지금은 재난의 직접적 피해자나 목격자가 아니어도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다. 코로나19 같은 신종감염병 등 새로운 유형의 재난에도 심리회복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경기도가 도민의 재난심리회복을 체계적ㆍ전문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 재난심리회복지원단’을 추진한다. 지원단은 민간전문가, 유관기관, 관계부서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경기도 재난심리지원 업무를 총괄한다. ‘재난심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지난해 4월 38명이 숨진 이천 물류창고 화재 참사때 행정안전부 안전관리실,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등 4개 기관이 화재 피해자에 대한 심리지원을 하려 하면서 중복 및 혼선이 있었다. 이에 도는 재난심리회복의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계획 수립 및 조례 입안을 거쳐 8월쯤 지원단을 출범시킬 예정이다.

재난 상황 발생시 여러 기관이 나서는 것은 혼선만 부르고 효율성이 떨어진다. 경기도가 재난심리 피해자들을 상담ㆍ치유ㆍ사후관리까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재난심리회복지원단을 추진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지원단의 내실을 위해 전문인력 확보와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등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