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소상공인 67.6%가 경기지역화폐로 인해 매출액 회복과 증가에 도움이 됐고 70.8%는 지역상권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경기연구원은 28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발표하고 이 같은 내용을 토대로 ‘경기지역화폐가 경기도 내 소비자 및 소상공인에 미친 영향 분석: 코로나 위기 대응을 중심으로’를 발간했다.
경기연구원은 2019년 1분기에서 지난해 3분기까지 소상공인 약 3천8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경기지역화폐 발행 시기를 기점으로 2019년 1분기는 사전조사, 그 이후는 사후조사의 의미를 갖는다.
조사 결과, ‘경기지역화폐가 소상공인 매출액 회복과 증가에 도움이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대답이 2020년 1분기 32.9%에서 2분기 67.6%로 두 배 이상 증가해 경기지역화폐의 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부정적인 응답은 23.9%에서 9.5%로 크게 감소했다.
‘경기지역화폐가 소상공인 지역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는가’라는 질문에도 긍정 답변이 2020년 1분기 38.5%에서 2020년 2분기 70.8%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과 유사한 추이를 보이면서도 지역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 결과다.
경기연구원은 소상공인뿐만 아니라 지난해 7월부터 약 한 달간 소비자 3천200명을 대상으로 경기지역화폐에 대한 설문조사도 병행했다.
‘소비자 만족도’ 질문에 70.9%는 경기지역화폐 정책 전반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사용 혜택(56.4%), 가맹점 이용(53.6%), 구입 방식(53.2%)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효과’ 질문에는 매출증대 효과가 80.2%로 가장 높았으며 소비자 편익 증대(78.6%), 지역 활성화 기여(71.8%), 고용효과(63.1%)가 뒤를 이었다.
정책발행 경기지역화폐 수령 이후 현금 및 카드, 일반발행 지역화폐를 이용한 추가소비율은 44.4%로 집계돼 경기지역화폐로 인한 소비진작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영성 경기연구원 기본소득연구단장은 “본 연구를 통해 경기지역화폐가 소상공인 매출 보전과 고용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소상공인 점포 이용의 지속성을 높이고 추가소비율을 진작시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