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가 잦은 곳에 대한 개선사업을 진행한 결과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86%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시행한 지역에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86.5%, 교통사고 건수는 31.5% 감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교통사고 잦은 곳은 특별·광역시의 경우, 한 해 교통사고가 5건 이상, 그 외 지역에서는 3건 이상 발생한 지점이다.
분석결과 사업 시행 전 3년(2015~2017년)간 연평균 사망자 수는 37명이었으나 사업 시행 후인 2019년에는 5명으로 86.5% 감소했다. 교통사고 발생 건수 또한 시행 전 연평균 1천491건에서 시행 후 1천21건으로 31.5% 줄었다. 신호기 증설,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등 간단한 교통안전시설 개선만으로도 효과가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산시 고잔동 안산우체국교차로는 안산시내 주요 간선도로인데, 유동인구와 교통량이 많이 개선 전에는 연평균 22.3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전방신호기를 추가하고, 교차로 접근부의 차선을 서행형태로 변경하면서 우회전 차량의 감속을 위한 과속방지턱을 설치한 결과 사업시행전과 비교해 교통사고는 11건(51% 감소)으로 줄었다.
행안부는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988년부터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추진해 지난해까지 전국 1만1천197개소를 개선했다. 올해에는 297개소의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윤종진 안전정책실장은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 줄이기 목표 달성을 위해 사업 효과가 검증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