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택배·상품권·코로나 지원금…출처 불명 ‘낚시 문자’ 클릭 금물
설 명절을 노린 스미싱 메시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명절 선물 교환이 증가하는 추세라 주의가 요구된다.
스미싱 문자 공격자들은 명절 특수성을 이용해 ‘택배 배송시간 확인’, ‘상품권 다운로드’ 등 관련 키워드로 스미싱 문자를 유포할 가능성이 크다.
또 지역별로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계획이 발표되고 있어 이를 이용해 ‘재난지원금 안내’를 위장 키워드로 삼을 수도 있다.
또 설에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연휴기간 즐길 콘텐츠를 찾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이를 노린 공격자들이 넷플릭스 등 유명 콘텐츠 서비스회사를 사칭하거나 P2P 사이트 등에서 악성코드를 유포할 가능성이 있다.
이같은 사기 피해를 막으려면 출처 불명의 인터넷주소(URL) 접속 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문자는 클릭하면 안 된다. 또 영화나 게임 등을 내려받을 때는 반드시 공식 경로를 이용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은 내려받으면 안된다.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한 사람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전화가 올 경우 해당 가족 또는 지인에게 먼저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스마트폰에 백신을 설치하고 업데이트와 검사를 생활화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