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는 16일 보편적 복지 실현에 전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재명 지사는 이날 경기도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2021년 업무보고를 통해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며 기본소득에 대한 공감대가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본소득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이라며 “기본소득을 더욱더 널리 확산하기 위해 기본소득 박람회 개최와 농촌기본소득 시행 등 관련 사업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청년 미래를 위한 투자에도 노력하겠다”며 “청년기본소득과 청년면접수당을 지속 추진하고 생애 최초 청년 국민연금 가입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농촌기본소득은 도내 1개 면을 선정해 주민 4천여명에게 2년간 1인당 월 15만원씩 연간 18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것으로, 오늘 7월부터 사회실험 형식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도내 청년 누구나 거주 조건만 충족하면 분기별 25만원씩 총 10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제도이다.
한편 이 지사는 월 4만원이면 기본소득이라 하기 어렵다고 비판한 국민의힘 김세연 전 의원을 향해 맹공을 펼쳤다.
이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1인당 월 4만~8만원은 천억대 자산가로 평생 어려움 없이 살아오신 김 의원께는 ‘화장품 샘플’ 정도의 푼돈이겠지만, 먹을 것이 없어 가족이 극단적 선택을 하거나 저축은커녕 빚에 쪼들리는 대다수 서민에게 4인 가구 기준 연 200만~400만원은 엄청난 거금”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기본소득 반대가 아니라 그 필요성을 인정한다면, 말꼬리를 왜곡해 공격하기보다 대안을 내고 정책경쟁을 하는 것이 낫다”면서 “발목잡기가 아닌 김 의원만의 실현가능하고 더 나은 기본소득 정책제시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최현호ㆍ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