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주택도시공사 등 도 산하 공공기관 북ㆍ동부 지역 이전 계획에 수원 광교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이번 산하기관 이전으로 광교융합타운(경기도청 신청사)이 반쪽짜리로 전락할 수 있다며 집단행동까지 예고하고 있다.
광교입주자대표협의회는 광교지역 주민자치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22일 회의를 열어 ‘공공기관 이전 관련 비상대책 위원회 구성’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경기도가 도 산하 공공기관 7곳(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신용보증재단, 경기연구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복지재단, 경기농수산진흥원)을 북ㆍ동부 지역으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데 따른 것이다.
경기주택도시공사와 경기신용보증재단은 당초 광교융합타운에 입주하기로 예정돼 있던 기관이다.
주민들은 이들 기관을 북ㆍ동부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은 주민들과의 약속을 저버리는 행동이며, 이로 인해 광교융합타운의 위상이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 이전 결정을 내리면서 주민들과 협의가 없었다는 점도 제기하고 있다.
지난 18일에는 경기도의회 수원지역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최종 결정이 되기 전까지 도의회 관련 상임위, 이전을 해야 하는 해당 기관조차 어떠한 사항도 알지 못했다”며 “공공기관 이전만이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유일한 정책인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입주자대표협의회는 비상대책 위원회 구성을 비롯해 광교신도시 내 반대 현수막 설치, 지역 국회의원 및 수원시장 면담 등을 추진하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시 집회와 1인 시위까지도 고려하고 있다.
이오수 광교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은 “광교 주민들은 이번 경기도의 발표에 절대 동의할 수 없으며, 광교 입주민들과 함께 빼앗길 위기에 처한 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신용보증재단을 되찾을 것”이라며 “이번 경기도의 발표는 행정 효율성, 지역 주민들의 편의 등을 고려하지 않은 정치적 결정에 불과하다. 더이상 정치논리에 따라 주민들이 피해보는 일이 없게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북ㆍ동부 접경지역과 자연보전권역 17개 시ㆍ군(고양ㆍ남양주ㆍ의정부ㆍ파주ㆍ양주ㆍ구리ㆍ포천ㆍ동두천ㆍ가평ㆍ연천ㆍ김포ㆍ이천ㆍ양평ㆍ여주ㆍ광주ㆍ안성ㆍ용인)을 대상으로 도 산하 공공기관 입주지역 공모를 진행한다. 오는 4월 심사를 거쳐 5월께 기관별 이전 지역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태희ㆍ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