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경기도·충청남도 등과 함께 서해안권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초광역적 협력 프로젝트의 시동을 건다.
22일 시 등에 따르면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시·경기도·충남도는 오는 26일 충남도청에서 박남춘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해안권 초광역 대기질 개선사업 업무협약’을 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해 12월 균형위가 주관한 ‘초광역 협력 프로젝트 지원사업’ 공모에 뽑힌 ‘서해안권 대기질 개선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것이다.
업무협약의 핵심은 초광역 서해안권 환경관리단 설치·운영, 대기질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미세먼지 발생 대형 배출사업장에 대한 관리·합동점검 등을 위한 균형위와 3개 시·도의 협력이다. 또 취약계층 건강영향조사 등 국가 대기오염 영향관리 표준화, 선박 배출량 공동조사, 중·소형 선박 배출기준 마련 및 관리 공동사업 등을 위해 균형위와 3개 시·도가 협력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현재 인천·경기·충남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141만6천t(2017년 기준)으로 전국 배출량(458만1천t)의 30.9%를 차지한다. 이는 대규모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인 항만, 산업단지, 화력발전소 등이 서해연안권에 집중적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3개 시·도는 지역의 경계를 넘어 초광역적으로 대기질 개선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판단으로 서해안권 대기질 개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오는 5월까지 관련 모니터링과 실태조사 등을 추진해 서해안권 대기질 개선사업의 세부사업을 정한다. 세부사업의 재정적 규모는 균형위가 공모 과정에서 배정한 588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3개 시·도는 앞으로 관련 실무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반기별 1회 이상 실무회의 열어 서해안권 대기질 개선사업의 세부사항 등을 협의한다.
시는 그동안 대기질 개선을 위한 초광역적 협력체계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어 다른 시·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018년 7월 경기도·서울시와 ‘수도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합의’를 한 이후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제한 등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12월 28일에는 경기도·서울시·유엔환경계획(UNEP)과 동아시아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모범사례 발굴·확산에 노력하기로 ‘UNEP-수도권 대기질 개선 공동평가 업무협정’을 한 상태다.
시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을 토대로 3개 시·도 모두 서해안권 대기질 개선사업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