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군·구 반발에 남항·가좌 하수슬러지 소각장 신설 차질

인천시가 연간 17만t에 달하는 하수슬러지의 처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시는 하수슬러지의 소각처리 방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고 있지만, 이미 생활폐기물 소각장 확대를 두고 군·구와 갈등을 빚고 있어 하수슬러지 소각장 신설은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23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16만9천t의 하수슬러지를 처리했다. 이는 지난 2018년 14만5천t에서 2만4천t이 늘어난 처리량이다.

시는 이들 하수슬러지의 50%를 민간에 위탁 처리하고 나머지 50%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의 자원화 시설로 보내 처리한다. 자원화 시설에서는 고화제 혼합과 건조 과정 등을 거쳐 발전소의 보조연료 등으로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한다. 하수슬러지의 처리비용은 민간 위탁 방식이 1t당 평균 10만원, 자원화 시설 방식이 1t당 13만6천800원에 이른다.

시는 현재 이 같은 하수슬러지 처리 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판단 중이다. 민간 위탁 방식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자원화 시설 방식에서 여러 문제점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하수슬러지로 만든 보조연료를 발전소가 더는 수용하지 않는 것이다. 당장 서구에 있는 화력발전소들이 모두 액화천연가스(LNG)를 주연료로 쓰면서 고체의 하수슬러지 보조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시는 1t당 1만원의 폐기물처리부담금을 이중으로 내면서 발전소가 수용하지 않은 하수슬러지 보조연료를 수도권매립지에 매립 처리하고 있다.

특히 하수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해 발전소에서 쓰는 보조연료를 생산하는 것은 최근 시가 대내·외에 강조하는 탈석탄 정책과 전혀 맞지 않다.

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해 하수슬러지를 소각처리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려 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12일 자체매립지와 신규 생활폐기물 소각장의 입지후보지를 발표하면서 하수슬러지 소각장 입지후보지도 공개하려 했다. 당시 시가 정한 하수슬러지 소각장 입지후보지는 서구 가좌동 가좌환경사업소, 중구 신흥동3가 남항환경사업소 등 2곳이다. 그러나 시는 자체매립지와 생활폐기물 소각장 입지후보지의 발표만으로도 큰 혼란이 일어날 게 뻔해 하수슬러지 소각장을 비공개했다.

이후 시의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생활폐기물 소각장 신설을 둘러싼 군·구의 거센 반발이 지역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이 중 미추홀·연수·남동구가 남항 환경사업소에 생활폐기물 소각장 신설을 반대하는 사안은 하수슬러지 소각장 신설 추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해당 생활폐기물 소각장과 시가 계획한 하수슬러지 소각장 1곳의 입지후보지가 모두 남항 환경사업소로 같기 때문이다. 앞으로 남항 환경사업소의 생활폐기물 소각장 신설을 미추홀·연수·남동구의 반대로 추진하지 못하면 하수슬러지 소각장 신설을 추진하는 것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시 관계자는 “하수슬러지 보조연료의 수요 감소, 탈석탄 정책, 처리비용 부담 등을 감안했을 때 하수슬러지는 앞으로 소각처리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본다”고 했다. 이어 “현재 자체매립지와 생활폐기물 소각장 신설만으로도 각 군·구와 시민의 반발을 사고 있어 하수슬러지 소각장 신설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는 어려운 입장”이라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