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창궐한지 1년이 지나면서 우리 모두의 일상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우리 주변의 자영업과 소상공인의 경제활동은 바닥이 보이지 않을 만큼 절망의 늪으로 빠져가는 등 한계에 다다르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의 깜깜한 암흑 속에서 한 가닥 희망으로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지만 그 기세는 아직도 꺾일 줄 모르고 있다. 정부 당국의 강력한 방역조치로 소상공인의 피해를 감수하면서 K방역의 성공을 이끌고 있지만 일부 계층의 일탈은 많은 국민들의 지탄을 사게 한다.
그중에서 확산우려가 높아서 가장 앞장서서 방역조치에 참여하고 솔선 수범해야하는 일부 교회들의 일탈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처사이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의 다수 교회에서 큰소리로 노래를 부르고 자리를 이동하는 등의 성가대 활동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어기는 사례가 단속반에 의해 적발되었다. 행정력을 동원해서 주말마다 단속과 계도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를 어기는 사례가 빈번하고 교묘히 피해서 방역지침을 어기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로 교회를 통해서 감염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다른 확산사례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제2차와 제3차 코로나19 대유행이 교회를 중심으로 시작되고 확산되었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물론 일부 교회와 신도들의 일탈이며 전체 기독교인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일부의 일탈이 통제되거나 견제되지 않고 지속되고 있으며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지 않고 있는 점은 전체 기독교인들이 공동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이단적인 교리를 바탕으로 방역의 과학적 논리를 비방하거나 가짜뉴스를 유포해 선동하는 등의 행동을 기독교의 큰 틀 속에서 자정하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기독교가 사랑받고 현대적 신앙의 큰 축을 담당하게 된 것을 기독교인들은 너무나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성공요인이 있겠지만 코로나19와 같은 역병을 사랑과 선행의 가치관으로 사회봉사를 통해 공동체를 결속한 점이 그 부흥의 계기이다. 역병이 만연했을 때 기존의 유대교인들이 이기적으로 방관하는 사회를 기독교인들이 나서서 희생하면서 거리의 사채를 치우고 청소하는 봉사활동이 궁극적으로 생존율과 직결되면서 개종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인류와 함께 해온 코로나19와 같은 역병을 지혜롭게 극복한 초심의 기독교 정신을 요구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