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화물차주차장 최적지로 ‘송도 9공구(아암물류 2단지)’를 선정한 가운데 지역 안팎에서는 자치단체와 정치권이 힘을 모아 주민 수용성을 높이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6일 시에 따르면 당초 시와 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 2006년 아암물류2단지 내 항만배후시설로 화물차주차장 조성을 추진했다. 하지만 송도 8공구 등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소음·분진·안전사고 등을 우려한 주민 반발이 거세게 일어났다.
이에 시는 지난해 2월 화물차주차장 입지를 찾는 용역을 했지만, 최종보고회를 앞두고 주민을 의식한 정치권의 반발까지 나오자 지난 10월 용역을 중단하고 관계기관의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이번 용역에서도 당초 부지인 송도 9공구가 최적의 부지로 꼽히면서 6개월 동안 행정력 등만 낭비했다.
특히 이 기간 인근 주민들이 화물차 매연·소음 등의 피해를 우려하며 반대하고 나서자 이들을 의식한 지역 내 국회의원과 인천시의원, 연수구의원까지 나서 집단으로 반발했다. 또 항만물류업계와 노동자들은 2007년에 결정한 사업이 지역 이기주의 때문에 차질을 빚는다며 빠른 사업 추진을 촉구하는 등 심각한 민·민 갈등까지 빚어왔다.
지역 안팎에선 시가 고심 끝에 송도 9공구를 화물차주차장 최적지로 선정한 만큼, 시와 연수구는 물론 정치권이 함께 주민수용성 확대 등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원모 인천시의회 제1부의장(더불어민주당·남동4)은 “이번 용역 결과가 예정한 시기에 나왔더라면 조금 더 주민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찾아갈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화물차주차장을 둘러싼 민·민 갈등 및 교통·환경·안전문제 등을 해결하려면 민·관은 물론 정치권까지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