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환경산업 육성을 통해 ‘녹색 경기도’ 구현에 온 힘을 쏟는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강소 환경기업 육성 ▲환경산업 마케팅 강화 ▲기술 애로 지원 ▲환경산업 거점 운영 ▲환경시설 자금 지원 등 5가지 추진전략을 세우고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이 사업에는 약 9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먼저 도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도내 환경기업을 유망환경기업으로 지정하고 맞춤형 지원을 펼친다. 30개사에 총 1억4천여만원이 지급될 전망이다. 또 자금과 정보력이 취약한 환경 기업에 대해 역량강화 지원 및 환경 기업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돕는다. 도는 공모를 통해 기업을 선정하며 시제품 제작, 특허 출원, 전시회 참가, 마케팅의 분야에서 기업을 뒷받침한다.
우수 환경기술ㆍ제품 장비 전시 소개 및 환경시장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서 환경산업 마케팅에도 박차를 가한다. 먼저 ‘2021 경기환경산업전’ 개최를 추진 중이며 수출 확대를 도모하기 위한 환경산업 통상촉진단 파견도 절차를 밟아나가고 있다. 통상촉진단 파견은 현지 바이어 발굴, 기업 간 1대1 무역상담회, 도내 환경기술 소개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 밖에도 환경산업혁력단 파견도 추진해 해외 환경산업 협력을 통해 정보, 기술, 인적 교류를 활성화 한다. 신기술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도는 ‘물산업 신기술 실증화’ 사업을 추진, 환경기업의 기술력을 높인다. 이 사업은 5개사 내외가 선정되며 총 3억5천만원이 투입된다. 또 경기도 업사이클플라자 운영, 물산업지원센터 등 ‘환경산업 거점’ 운영을 통해 친환경 경기도를 향해 한발 더 다가간다. 아울러 도는 악취방지시설 설치 및 개선, 사업장 대기방지시설 유지관리 지원, 북부 중소기업 수질개선 지원도 펼친다.
도는 이처럼 다양한 환경산업 육성을 통해 환경기업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환경 기업 기술지원을 통한 녹색 환경 구현에 앞장서겠다는 복안이다.
도 관계자는 “기업기술 지원을 통해 녹색환경 구현을 하는 것은 물론 관련 업계의 성장동력 역시 확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