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노동권익센터가 개소 2년만에 8천 건에 육박하는 노동상담, 지원하는 등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민선 7기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핵심 노동정책 공약으로 지난 2019년 3월 경기도북부청사내에 경기도노동권익센터를 마련했다.
센터는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위탁방식이 아닌 ‘직영센터’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노동국 신설과 더불어 1천370만 도민들을 위해 좀 더 힘 있는 노동정책을 펼치고자 한 경기도 의지로 분석된다.
그 결과 임금체불, 해고, 산재, 직장 내 괴롭힘 등 총 7천964건의 노동관련 상담과 지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박종국 센터장을 비롯한 노동상담 및 노동권교육 담당자, 마을노무사 등 노동 전문가들이 전 방위적 지원을 펼쳤다.
주요 사례를 보면 지난해 10월 안양 지역 A아파트에서 경비노동자 등 총 4억 6천만 원가량의 체불임금 문제를 해결했다. 지난 1월에는 입주민의 갑질로 인해 외상성 스트레스 피해를 입은 경비 노동자의 첫 산재인정을 도왔다.
이 밖에 건설일용직 집단체불, 택시노동자 부가세환급금 문제, 직장 내 괴롭힘 사건 등의 사건을 해결, 노동자들의 노동권 보호를 위한 든든한 벗 역할을 했다.
또 노동여건 개선 실태조사, 찾아가는 노동상담, 노동정책 연구 제안을 위한 모니터링은 물론, 시군·노동단체·비정규직지원센터 등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뿐만 아니라 노동권익센터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해 온라인상에서 노동상담, 노동권교육, 산재상담 등을 진행했다. 아울러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비대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도 힘썼다.
앞으로 노동권익센터는 플랫폼노동, 파견용역 및 필수노동자 등 급변하는 노동환경에 대응해 보다 더 촘촘한 광역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별 ‘이동노동자 쉼터’를 거점으로 다양한 현장 노동상담 및 권익구제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학계·노동계 등 외부 전문가 자문단 의견을 적극 반영, 노동권익센터의 기능강화 및 발전방안을 수립한다.
김규식 노동국장은 “국내외 노동환경이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 여파로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며 “노동권익을 더욱 증대시키고 노동사각지대를 최소화해 ‘노동이 존중받는 공정한 세상’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