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선두’ 자처했던 수원시…‘수원역 성매매 집결지’ 점검 0회

수원시가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에 대해 코로나19 점검 및 단속에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깜깜이 전파’가 우려되고 있다.  25일 오후 수원역 집창촌에서 성매매 여성이 호객 행위를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수원시가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에 대해 코로나19 점검 및 단속에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깜깜이 전파’가 우려되고 있다. 25일 오후 수원역 집창촌에서 성매매 여성이 호객 행위를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코로나19 대응 성과를 자랑했던 수원시가 정작 감염 위험이 높은 수원역 집창촌에 대해선 단 한 번도 점검이나 단속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밀집ㆍ밀접ㆍ밀폐 등 3밀(密)의 현장,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 업소에서 감염 확산이 우려된다.

수원시는 25일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에 업소 113곳(영업주 71명ㆍ종사자 250여명)이 남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달 초 소방도로 개설 사업으로 철거에 들어간 업소 19곳(완전 폐업 16곳ㆍ부분 철거 3곳)을 제외하면 영업을 계속하는 건 100곳 남짓으로 추정된다.

성매매 업소는 그 특성상 감염에 취약한 조건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를 비롯한 불특정 다수가 드나들고 있으나 출입자 명단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방역 사각지대로 꼽힌다.

그러나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에 대한 방역은 팔달구보건소가 업소 앞까지만 주 1회 소독하는 데 그쳐,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

시는 성매매 업소가 다중이용시설로 등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속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불법 업소’이기 때문에 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단속할 수 없다는 역설적인 답변으로, 그간 ‘과잉 대응’ 기조를 강조하며 코로나19 대응 선두를 자처했던 모습과 대조적이다.

더구나 지난해 9월 개정된 감염병예방법을 통해 시의 답변은 설득력을 잃는다. 기초지자체장은 감염병 전파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장소에 출입자 명단 작성 등을 명할 수 있게 됐다. 또 집합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으며, 이를 어길 경우 해당 장소에 폐쇄를 명령해야 한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애초에 불법인 성매매를 근절하지 못하니 방역적인 접근에서도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밀접접촉이 일어나는 성매매 업소는 언제든 ‘깜깜이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만 예민한 장소인 만큼 방역 점검에 응하면 일부 불이익을 면해주는 등 공공의 안전을 위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최근 수원역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진단검사를 권유하고 있다”며 “집결지 관련 협의 때 지적 받은 사항을 실무적으로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