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금융이해도, 전반적 양호…노년은 지식, 청년은 태도 취약

저축은 하지만, 장기 재무목표를 달성하려는 노력은 저조

우리 국민의 금융이해도가 OECD 평균을 넘으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치관을 나타내는 금융태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해 금융·경제교육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2020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총점은 66.8점으로 2018년 조사(62.2점)보다 4.6점 상승했고, OECD 평균(2019년, 62.0점)을 웃돌았다고 29일 밝혔다.

금융이해력 조사는 2년 1회, 금감원과 한국은행이 진행하고, 지난해 조사는 우리나라 성인(만18세~79세) 2천400명 대상으로 이뤄졌다.

세부적으로 금융지식과 금융행위는 성인 10명 중 6명 이상, 금융태도는 4명이 OECD 최소목표점수를 달성했다. 노년층은 금융지식이, 청년층은 금융태도 점수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금융지식은 합리적인 금융생활을 위한 지식, 금융행위는 건전한 금융생활을 하기 위한 행동양식, 금융태도는 현재보다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의식구조를 뜻한다. 금융이해력이 높은 사람은 예상치 못한 지출 상황이나 소득 상실 위기에도 자력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의미다.

대부분 성인이 적극적인 저축을 한다고 응답(97.0%)했으나 장기 재무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려고 노력한다는 성인(43.5%)은 저조했다. 청년층은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이 높으며 이는 금융행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소비를 중시하는 대학생(취준생 포함) 10명 중 8명이 OECD의 금융행위 최소목표점수에 못 미쳤다.

금융·경제교육 수강 경험자의 금융이해력 점수(68.2점)가 없는 경우보다 높고 금융지식 및 금융행위 부문에서 최소목표점수를 달성한 비중도 더 양호했다.

금감원과 한은은 청년층에 대한 조기 금융·경제교육을 강화하고 노년층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금융 기본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