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초등돌봄교실 10곳 중 1곳 이상 일반 교실과 겸용

빈약한 돌봄 프로그램ㆍ교실 보안 등 문제

인천지역 초등돌봄교실 10곳 중 1곳 이상이 일반교실을 같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돌봄 교육의 질이 낮아지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31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인천의 초등돌봄교실 606개 중 74개(12.21%)가 돌봄수업을 위한 전용 교실이 아닌 일반 및 교과교실(일부 과목 전용교실) 등을 빌려쓰고 있다. 특히 74개 중 69개는 단순 일반교실에서 돌봄 수업을 하고 있다.

지역 안팎에선 이로 인해 돌봄교육의 질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반 교실은 해당 교실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책상과 의자 등이 그대로 남아있어 돌봄교실을 운영할 때 정적인 프로그램이 아닌 단체활동 프로그램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교육청의 ‘2019학년도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에서는 단체활동 프로그램으로 음악줄넘기, 북아트, 전래놀이, 창의로봇, 연극, 요리 등을 예시로 들고 있다.

교사 A씨는 “돌봄교실 아이들이 돌봄에 오는 것이 너무 지겹다고 이야기 할 정도로 프로그램이 없는 사례도 있다”며 “교육의 질이 낮아지고 단지 시간만 잡아먹는 식의 보육만 하는 것은 겸용교실의 문제가 큰 원인”이라고 했다.

일부 학부모들은 면학 분위기와 교실 보안 문제 등도 우려한다. 초등학교 4학년 아이를 둔 이동철씨는 “교실에 돌봄교실 프로그램을 위한 장비가 있어 평소 수업 환경을 해친다”며 “일반 교실을 이용하는 아이들의 물건이 사라지는 문제도 있을 수 있어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고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유휴교실이 없는 곳은 어쩔 수 없이 전용교실을 만들지 못했다”며 “교부금 등을 확보해 전용교실 확보에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