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정책의 지속가능성 점검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경기도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이는 경기도가 ‘제1기 경기도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구성ㆍ운영 계획(안)’을 수립(경기일보 8일자 3면)한 데 이은 첫 행보로 앞으로 경기도의 ‘녹색 정책’의 방향성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지속가능성은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인류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이나 경제, 사회를 만들자는 의미다. ‘경기도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경기도의 경제 성장, 사회 안정·통합, 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로 도에서는 처음 구성됐다.
위원회 위원들은 도시환경, 사회문화, 경제 등 3개 소위원회에서 활동하며 ▲‘경기도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수립 심의·변경 ▲지속가능발전지표 작성, 자문 ▲주요 도정 지속가능성 검토·평가 ▲이행계획 수립·변경·추진 상황 점검, 자문 등의 역할을 맡는다. 새로운 사업을 진행하게 될 때 탄소배출을 고려하고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정책을 진행할 수 있을지를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위원회에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향후 선출될 민간위원 1명을 공동위원장과 김정욱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명예교수, 마킨 메이타 수원이주민센터 대표, 박종식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등 총 38명(민간위원 33명, 당연직 공무원 5명)의 민·관 전문가가 위원으로 참여한다.
위원들의 임기는 올해 4월7일부터 오는 2023년 4월6일까지 2년 간이다. 민간공동위원장 선출과 함께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된다.
박성남 도 환경국장은 “환경과의 조화를 통한 지속가능 발전이 도정 주요 정책과 계획 등에 최대한 반영돼 경기도 운영의 핵심 원칙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