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비대위, ‘최고위원도 전당대회에서 선출’ 의결

더불어민주당이 4·7 재보선 참패로 사퇴한 최고위원 보궐 선거도 5·2 전당대회에서 진행키로 했다.

당초 민주당은 지도부 총사퇴로 인해 공석이 된 최고위원을 국회의원과 지자체장 등으로 구성된 중앙위에서 뽑기로 했으나, 쇄신의 모습을 보이려면 5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최고위원을 동반 선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분출하며 방향을 선회했다.

허영 대변인은 1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원 선출 방법에 대해 수정의결했다. 기존에 중앙위에서 선출하기로 한 것을 다음 달 2일 임시전당대회에서 선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허 대변인은 이어 “차기 당무위원회에 해당 안건을 올려 최종적으로 의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8일 지도부 총사퇴 이후 최고위원을 중앙위에서 선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를 9일 당무위에서 의결했다. 최고위원 보궐선거의 경우 당 대표와 달리 중앙위에서 할 수도 있도록 한 당헌·당규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홍영표(인천 부평을)·우원식 의원 등 당권주자를 비롯해 적지 않은 의원들이 당원에 의한 최고위원 직접 선출을 공개적으로 요구, 방식 변경 논의가 탄력을 받았다. 김승원 의원(수원갑)은 “저는 대의민주주의 한계를 보완할 직접민주주의 도입, 예컨대 중요의제 국민선택제, 국민입법권제, 국민정보권제 등을 제도화하고자 한다”며 “같은 맥락으로 당 대표, 최고위원 등 당 지도부는 당원의 직접 투표로 선출하는 것이 옳다고 믿는다”고 요구했다.

김용민 의원(남양주병)도 “당내 민주화를 위해 당원들의 의사가 당 대표, 최고위원 선거에 최대한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고, 최근 재보선 참패의 원인 중 하나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등을 거론하는 입장문을 내놓은 오영환(의정부갑)·이소영(의왕·과천) 의원 등 당내 2030 초선 의원들 역시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전체 투표를 통한 최고위원 선출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