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은 장폐색을 동반한 대장암에 대해 스텐트 삽입에 따른 복강경 수술의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장폐색은 혈관처럼 장(腸)이 막히는 것을 의미하며 배가 빵빵한 상태로 변비와 설사가 지속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에 활용되는 자가팽창형 금속 스텐트 삽입술은 효과적으로 장폐색을 해결, 응급수술의 위험성을 낮추는 치료 수단이다. 하지만 스텐트 삽입 후 복강경 수술의 역할에 대해서는 개복수술과 비교했을 때 종양학적 결과가 어떠한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오흥권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 연구팀은 2002년 7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다섯 개의 3차 의료기관에서 좌측 대장, 즉 비장 만곡부터 상부 직장까지 이르는 대장의 폐쇄성 대장암에 대해 1차적으로 스텐트 삽입 후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97명)와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82명)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5년 생존율은 복강경 수술 그룹이 79.1%, 개복 수술 그룹이 69.0%로 두 그룹 간 의미 있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돼, 스텐트 삽입 후 복강경 수술을 이어 하는 것에 대한 장기적인 안전성이 입증됐다. 다만, 수술 후 보존항암치료 여부가 환자들의 생존에 통계학적으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만큼, 진행성 대장암이면 수술 방법에 관계없이 보존항암치료를 받아야 재발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오 교수는 “이번 연구는 폐쇄성 좌측 대장암의 스텐트 삽입 후 복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의 장기 종양학적 결과를 비교한 연구 중 가장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며 “성향점수분석을 적용해 편향을 최소화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성남=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