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대형건설사의 민간건설사업에 대한 지역업체 하도급률 목표를 40%로 정하고 지역건설산업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20일 시에 따르면 올해 공공과 민간에서 추진하는 건설사업에 대한 지역업체 하도급률의 목표를 공공은 70%, 민간은 40%로 잡았다. 지난해 지역 하도급률은 공공 건설사업이 37.5%, 민간 건설사업이 15.3%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민간 건설사업의 경우 지역 하도급 비율을 강제할 수 없어 목표 기준을 세우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올해부터 합동 세일즈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높일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10곳의 대형건설사 등에 대한 지역 하도급 비율을 파악하고 현장점검 등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8월 대형건설사 10곳의 지역 하도급률은 평균 11.6%에서 15.3%로 3.7%로 증가했다.
시는 이 같은 현장세일즈 전략 등으로 민간 건설사업의 지역건설업체 비중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시는 대형 건설사업 승인 조건에 ‘하도급 상생 협력 계획서’ 등의 항목 추가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적용대상은 235억원 이상(군·구 100억원 이상)의 사업이며 연면적 5천㎡ 이상, 100가구 이상도 해당한다.
또 시는 다른 지역 건설사를 직접 방문하거나 공문을 보내 협력업체 관리 및 상생 방안 협조 등을 수시로 요청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각 군·구와 함께 매월 1회 지역 내 민간 건설사업에서의 하도급 실태 합동 점검도 추진한다.
이 밖에도 시는 원·하도급 수주를 높이기 위해 건설사의 하도급 시 전액 지역업체 하도급을 의무화하는 ‘지역제한공사’ 제도도 적용한다. 종합공사는 사업비 100억원 미만, 전문공사는 10억원 미만, 전기·통신·소방 등은 5억원 미만 등이 기준이다. 시는 종합공사 100억원 이상과, 전문공사 10억원 이상 등의 사업 입찰 공고 시 지역업체를 49%까지 쓰도록 하고, 참여비율 역시 70% 이상을 권고한다.
시 관계자는 “지역 건설경제 활성화를 위해 세부적인 전략 방안 등을 세워둔 상태”라고 했다. 이어 “사업별 맞춤형 세일즈 및 다각적 인센티브 제공 등도 추진해 지역 하도급률을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