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인 광풍’이 불면서 가상화폐 투자에 뛰어드는 2030세대가 급증하고 있다. 취업난, 생활고 등에 시달리는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적은 자산으로도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코인 투자에서 탈출구를 찾는 모양새다. 연일 포털에는 ‘코인 버블’과 ‘김치 프리미엄’ 등 국내 가상화폐 시장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뉴스가 쏟아진다. 그러나 2030세대에게는 위험보다 기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국민의당 권은희 의원실이 업비트ㆍ빗썸ㆍ코인원ㆍ코빗 등 국내 4대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1분기(1∼3월) 가상화폐 거래를 한 번 이상이라도 한 2030세대는 233만5천977명이다. 이 중 1분기에 계좌를 개설하고 투자를 시작한 20대(81만6천39명)와 30대(76만8천775명)는 158만4천814명에 달한다. 20, 30대 가상화폐 투자자 10명 중 7명이 올해 들어 투자에 뛰어든 것이다. 취업이 안 돼 미래가 불안한 데다, 알뜰히 저축해 내 집을 마련하는 일은 먼 과거 얘기가 됐다. 때문에 ‘코인에 투자에 수십억원을 벌었다’, ‘차를 바꾸고, 집을 샀다’ 등의 성공담은 이들을 코인시장으로 이끌고 있다.
▶정부는 상반기 중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상화폐와 관련한 불법 행위에 대해 특별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또 개정된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에 따라 오는 9월부터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은행으로부터 실명 확인이 가능한 입출금계좌를 받고 신고 절차를 거쳐야만 영업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이 같은 조치로 불법 행위 등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아쉽게도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는 미흡한 면이 있다.
▶가상화폐 거래 규모가 주식시장을 앞서기 시작했다.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면 코인 급락, 거래소 폐업 등 심각한 후유증이 우려된다. 가상화폐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불거지기 전, 정부는 서둘러 제도적 허점을 보완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홍완식 경제부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