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협력 새 모델 준비
“민관이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해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에 앞장서겠습니다.”
장애인ㆍ노인 등 교통약자를 병원에 태워다주는 것은 물론, 병원 진료시간 동안 동행까지 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려는 장애인기업이 화제다.
지난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제16차 정보통신기술 규제샌드박스 심의위원회에서 경기도와 협업, 이동약자 교통지원 서비스 사업의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승인을 받은 힐빙케어(대표 박용진)가 주인공이다.
박용진 힐빙케어 대표는 ‘이동약자 맞춤 모빌리티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분주히 준비한 끝에 민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동약자 맞춤 모빌리티란 9~11인승 승합차를 5~7인승으로 개조, 전동휠체어에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또 병원 내 치료실 동선을 안내하고 의사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병원동행 매니저’ 서비스도 포함한다.
박 대표가 이 같은 사업을 구상하게 된 건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이동약자에 대한 안타까움에서 비롯됐다. 18세 때 교통사고를 당해 발목 수술을 받고, 3년여 간 입원과 통원치료를 반복한 그는 이후 취업한 병원 원무과에서 근무하면서 자신과 같은 처지에 놓인 환자를 보면서 이동권 보장 필요성을 절감했다.
박 대표는 “현재 경기도내 각 지자체는 장애인 콜택시를 운영하고 있지만, 차량 대수가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데다, 요금체계와 이동거리 등 운행규정이 저마다 달라 관외 지역을 이동하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발표한 ‘교통약자 이동 편의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19년 기준 교통약자는 전체 인구의 약 29.4%인 1천522만명이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803만명)와 장애인(262만명)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박 대표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민관 협력 모델 개발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장애인 콜택시를 운영하는 지자체가 재정 한계로 차량 대수를 크게 늘릴 수 없는 만큼 지자체가 차량 및 기사 비용 일부를 지원하고, 민간에서 앱 등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로 이동약자 맞춤 모빌리티를 늘리자는 것이다.
박 대표는 “이동약자 맞춤 플랫폼(앱) 개발로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신장하는 것이 이 사업의 목적”이라면서 “민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 만큼 경기도, 31개 시ㆍ군과 협력해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모든 열정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