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순환선 송도갯벌 우회 등에 최대 4천억 추가…사업 ‘삐끗’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인천~안산 구간(이하 제2순환선) 사업에 대한 환경단체와 송도국제도시 주민의 민원을 수용하면 공사비가 최소 1천억원에서 최대 4천억원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환경단체의 요구대로 송도갯벌을 우회하거나 송도 주민들의 주장대로 지하화(해저터널)하려면 1,2구간(시화~남송도IC·8.4㎞, 남송도IC~인천남항·11.4㎞) 동시 착공도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제2순환선의 시행사인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7일 열린 ‘제2순환선 민·관협의회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환경단체와 송도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6가지 대안을 내놨다. 이들 대안은 송도갯벌과 송도 6·8공구 앞바다를 지나가는 2구간에 해당한다.

환경단체의 요구대로 송도갯벌을 우회하는 해상교량을 설치(1안)하면 사업비가 당초 1조1천523억원보다 3천273억원 늘어난다. 2안인 해저터널 설치는 4천억원 이상의 추가 공사비가 든다.

또 조망권 등을 이유로 반발하는 송도주민의 민원에 맞춰 송도 6·8·9공구 앞을 지나가는 구간을 지하화(3안)하면 3천614억원이 추가로 필요하다. 아암물류단지 등이 있는 송도 9공구를 제외하고 6·8공구 앞을 통과하는 구간을 지하화(4안)하면 3천295억원이 더 든다. 송도 6공구 구간에 대해서만 지하화(5안)를 추진하면 1천20억원이 더 필요하다. 송도 6공구 인근의 아파트 앞 녹지 구간에 대해 약 45m를 지하화(6안)하는 것도 1천616억원의 공사비가 더 든다는 분석이다.

이들 대안 중 5안을 제외한 모든 대안은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배후단지 개발계획(골든하버)의 용도 변경 등이 불가피하다. 또 1~4안은 인천대교와 연결하는 송도분기점(JCT)의 설치·이동에 따라 연간 160억~200억원의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

특히 이들 대안 모두 비용대비 편익(B/C)값이 종전 1.01에서 0.69~0.72로 떨어져 사업 추진 자체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시는 연말까지 협의회를 통해 이들 대안 중 최적안을 찾아 사업 주체인 국토교통부에 최종 검토를 요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국토부가 최소 1천억원 이상의 공사비가 늘어나는 대안을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제2순환선의 동시착공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제2순환선 1·2구간을 분리·추진하는 계획을 수립하면서 시에 민원 해결 등 2구간의 사업 여건을 확보해 달라고 요구했다.

시 관계자는 “협의회를 통해 나오 대안 중 하나로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것은 맞다”고 했다. 이어 “다만 앞으로 주민·환경단체·전문가 등과 더욱 합리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