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공공급식센터 운영 방안 구체화

인천시가 지역 먹거리의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기 위해 추진 중인 공공급식 통합지원센터(통합센터)의 구체적인 청사진이 나왔다.

13일 시에 따르면 남촌농산물도매시장 내부 판매물류동에 사업비 1억5천만원을 들여 통합센터를 추진 중이다.

시는 통합센터를 운영할 재단법인을 설립해 오는 2023년부터 이곳을 위탁 운영할 계획이다. 급식기관·단체가 통합센터에 식자재를 주문하면 통합센터가 공급업체를 통해 지역 농산물과 축산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특히 학교 등의 급식기관에는 시가 인천시교육청을 통해 급식경비를 보조해준다. 시는 공공급식 지원 과정에서 지역전자화폐인 인천e음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통합센터가 물류기능을 확보하기 전에도 일부 식자재는 공공급식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시는 올해 말 급식지원센터 조직을 꾸리고 내년부터 쌀 품목에만 공공 급식을 우선 지원한다. 전체 농·축산물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전에 1년간 제도 적응 기간을 갖고 일부 품목이라도 학교 급식 시설에 먼저 지원하기 위해서다.

이 기간 급식지원센터는 생산지에서 건조한 벼를 미곡종합처리장 등을 거쳐 도정·보관하고 공급업체를 통해 매주 학교에 물량을 공급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지원 방식은 개별 학교가 급식지원센터와 수의계약을 맺는 형태의 보조금 지원 방식과 시교육청이 직접 쌀 공급신청을 하는 현물 지원 방식을 두고 아직 논의 중이다.

다만, 통합센터 도입으로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는 납품업체들의 반발 해결은 아직 숙제로 남아있다. 통합센터가 공급업체·급식시설과 계약을 맺고 식자재를 납품하면서 종전의 납품업체들이 단순 식자재 배송업체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통합센터가 납품업체를 선정하는 기준, 규모 등에 대해서도 반발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시 관계자는 “오는 7월 통합센터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푸드플랜 수립 연구 용역을 마무리하고 구체적인 납품업체 선정 기준 등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납품업체들과 꾸준히 만나 의견을 듣고 있다”고 했다. 이어 “생산자와 납품업체, 시민 모두가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