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자율방범대 초소 80% 불법 컨테이너…“활동지원 위해 제대로 된 건물 시급”

고양시 자율방범대 초소 현황

고양지역 자율방범대 초소 80%가 불법 컨테이너여서 이들의 활동지원을 위해 제대로 된 공간을 설치ㆍ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4일 고양시에 따르면 지난 1963년부터 자율방범대 활동이 시작된 뒤 지난해 기준으로 지역 내 자율방범대원은 1천330여명이고 누계 활동대원수는 3만2천650여명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자율방범대 초소 40곳 중 32곳이 컨테이너로 설치된 불법 가설건축물로 나타났다.

지난 1963년 자율방범활동이 시작된 이후로 대원들이 임의로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할 행정당국도 정확한 설치경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단속도 여의치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일산서구 건축과 관계자는 “자율방범대 초소 관련 자료가 남아있지 않다. 자율방범대는 자치행정과와 경찰 등과 연관돼 단속하려면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며 “초소를 짓기 위해 인허가를 받으려면 컨테이너로 지어진 불법 가설건축물을 철거한 후 다시 기준에 맞게 신청, 설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시미관을 해치는데다, 자율방방대원들의 휴식공간으로도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산동구 주민 A씨(32)는 “도심 한복판에 컨테이너로 설치된 자율방범대 초소가 있는데 도시미관을 해치는 등 좋아 보이지는 않는다. 자율방범대원들이 휴식을 취하기에도 부적절해보인다. 당국 차원의 대안이 필요해보인다”고 토로했다.

고양시의회 문재호 의원도 자율방범대원들의 근무환경과 도시미관 개선 등을 주장하며 “새로운 초소를 신축하거나 공공건물인 행정복지센터 등지 일부를 무상 임대하는 등의 대안이 있다”며 “창릉신도시처럼 도시계획 설계 시부터 공공건물에 입주하도록 계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양시 주민자치과 관계자는 “현재 법적근거가 없어 직접적인 지원은 어렵다. 앞으로 지원방향과 법적근거 등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최태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