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오는 2028년까지 부평 미군기지(캠프마켓) 전체의 시민 개방을 이뤄낸다는 밑그림을 완성했다.
31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이뤄진 부평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에 대해 오는 2028년까지 4단계의 추진계획을 거치는 10년 로드맵을 마련했다.
시는 1단계 ‘공여해제 및 반환’으로 올해 중 캠프마켓 내 제빵공장 폐쇄를 비롯해 10월에는 국방부 등 중앙 정부가 미군으로부터 D구역까지 반환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9년 A·B 구역을 반환받은 상태다.
시는 2단계 ‘토양오염 정화 및 토지매입’으로 내년 말까지 오염 상태인 A·B구역에 대한 토지 정화를 마칠 것으로 보고 있다. D구역은 조사부터 해야 해 2024년 말께나 정화작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는 정화 작업 등이 끝나면 정부로부터 1조1천325억원을 들여 캠프마켓의 60만4천938㎡ 규모의 땅을 사들일 방침이다. 이 중 9천810억원은 보상비이며, 공사비 등으로 1천515억원이 들어갈 전망이다. 이미 시는 국방부로부터 단계별로 토지를 매입하고 있다.
시는 3단계 ‘시민소통 및 환용방안 마련’을 통해 캠프마켓에 대한 공원 조성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시민참여위원회를 주축으로 제4회 시민생각 찾기, B구역 시민개방·관리, 시민소통 방안 등을 마련하고 있다.
시는 오는 8월까지 인포센터를 건립한 뒤 시민과 함께할 거시적 공론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올 하반기 인천연구원에 공원기본구상(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를 맡길 예정이다. 이 기본구상안에는 캠프마켓의 역사 등을 감안하고 시민의견 등도 받을 예정이다.
시는 4단계 ‘공원조성계획 및 공사’에서는 1년여 동안 국제 공모를 통해 공원 콘셉트에 대한 기본구상 안을 마련하고 시민의견을 반영한 공원설계를 추진한다. 시는 이 과정에서 거버넌스를 구축해 시민참여를 이끌어 내고 내년까지 공원 조성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도 밟아 나갈 계획이다.
시는 이후 2028년까지 공원 공사를 마무리하고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개방할 방침이다. 이때에는 장고개도로 전구간도 개통이 이뤄지며 캠프마켓 역사문화 가상체험(VR) 체험관도 들어선다.
현재 시는 오는 2025년 12월까지 6억5천만원을 투입해 캠프마켓 역사·문화자산에 대한 체계적으로 수집해 기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오는 10월 D구역까지 캠프마켓 전 구역의 완전 반환이 이뤄질 것을 대비해 체계적인 사업관리 방안을 담은 로드맵을 마련했다”고 했다. 이어 “재정·문화예술·도시계획·주택녹지 등 관련부서와 협업체계를 구축해 캠프마켓이 시민에게 개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