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은 우리 모두가 극복해야 하는 것”…모두 하나돼 극복 다짐
경기도의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저출생 극복 사회연대회의 제1차 정기회의’가 3일 경기도청에서 열렸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도지회가 주관한 회의에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ㆍ의료ㆍ언론ㆍ종교계, 시민단체 등 19개 기관이 참여했다.
회의에서 김향숙 경기도청 인구정책담당관은 이전 ‘저출산’ 단어를 ‘저출생’으로 바꾼 것에 대해 “출생은 여성 혼자만이 이뤄내는 것이 아니다. 출산의 주체가 되는 여성에게만 저출산의 책임을 물을 수 없다”며 “경기도가 먼저 ‘저출생’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객관적으로 모두의 일이라는 것을 알리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 간사단체인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도지회는 ▲현장 캠페인 ▲인구의 날 기념식 ▲지역매체 활용 홍보사업 ▲경기 100인의 아빠단 운영 등 저출생 극복을 위한 사회연대회의 추진 계획을 설명했다.
또 참여 기관별 저출생 관련 사업계획과 추진현황을 소개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아빠 양육 활동을 지원하는 ‘경기도 아빠하이!’사업, 경기도한의사회의 ‘난임부부 한의약 지원사업’ 등이 소개됐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구성원들은 정책, 시대, 문화ㆍ가치관이 변화한 만큼 그에 맞는 저출생 극복 방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여성만 받던 난임 치료 지원을 남성으로 확대하고 조기 교육을 통해 저출생이 사회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가족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홍보 강화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김동진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도지회 본부장은 “사회 분위기, 정부 정책, 경제 등 많은 요소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에 포함된다”며 “남의 일이 아닌 우리 개개인 모두가 인지해야 하고 간단하지만 실질적인 사업들을 선보여 ‘아이를 낳는 이유’를 확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은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