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관련 중복 긴급재난문자 등이 오히려 방역 긴장감을 떨어트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1일부터 이날까지 인천시와 10개 기초지방자치단체 등이 보낸 재난문자는 총 1천332건이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확진자 안내 외에도 백신 접종 안내가 재난문자로 오고 있어 발송 건수도 덩달아 늘고 있다. 시와 기초단체는 4월 175건, 5월 257건의 재난문자를 각각 보냈다.
특히 각 기초단체가 같은 내용의 재난문자를 중복으로 보내면서 주민들이 다중이용시설 확진자 발생에 따른 검체검사 요청 등의 재난문자 확인을 소홀히 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미추홀구, 동구, 부평구, 남동구 등 구를 가리지 않고 ‘60~74세(47~61년생) 예방접종 6월 3일까지 사전예약’ 등 백신 관련 내용을 같은 날 반복해 보내고 있다.
결국 일부 주민은 재난문자를 보지 않거나, 아예 문자 알림 기능을 꺼버리고 있다.
남동구 주민 A씨는 “백신 예약 문자는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인데 굳이 많이 보낼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며“요즘은 재난문자가 와도 보지 않고, 때로는 문자 알림을 꺼놓기도 한다”고 했다.
서구 주민 B씨도 “백신 접종 대상자도 아닌데, 계속 접종 안내 문자가 오다보니 알림을 꺼버린 상태”라며 “이러다가 정작 중요한 알림을 받지 못할까 걱정되는 마음도 있다”고 했다.
연수구 주민 C씨는 “인천에 살고, 일도 인천에서 하는데 시흥시 재난문자가 왜 오는지 모르겠다”며 “확진자 동선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고 수만 담은 문자가 구별로 오다보니 이제 확진자 발생도 무감각해졌다”고 했다.
김경우 인제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재난문자가 스팸처럼 인식되는 분위기는 방역이나 재난 대응 차원에서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재난 문자에는 꼭 필요한 정보만 제공하고 시민도 이를 주의깊게 봐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구별로 중복 문자가 오는 건 기지국에서 문자를 보낼 때 오류가 있는 것”이라며 “확진자 발생 문자도 1일 1회만 보내도록 하고 있고, 최대한 재난문자 수를 줄이려고 노력 중”이라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