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의 복지 기준을 정하기 위해 많은 시민과 끊임없이 논의해 합의점을 찾겠습니다”
신상준 인천시사회서비스원 부연구위원(38)이 지역 내 복지 현장과 정책을 연결하는 소통의 창구역할을 하고 있다. 인천시민이 최소한으로 누려야 하는 복지의 기준점인 ‘인천복지기준선’이 제도적으로 자리잡기까지 최일선에서 시민의 목소리를 듣고 있는 일등공신이기도 하다.
신 위원은 현재 인천복지기준선 프로젝트에서 시민복지평가단과 공무원이 교류할 수 있는 연결고리 역할을 맡고 있다.
그는 “끊임없이 논의하고 합의점을 찾는 인천복지기준선 연구는 시민사회와 행정기관이 함께 공공의 선을 찾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과정”이라며 “결론도 물론 중요하지만 합의 과정 자체가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신 위원은 중재자로서 상호간의 이해를 이끌어내는 점이 가장 어렵다고 설명한다.
그는 “대부분의 공공 갈등은 시민과 공무원이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부족해서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시민은 공무원이 정책 마련에 소극적이라고 생각하고, 반대로 공무원은 시민들의 요구가 행정과 맞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시민들이 행정 절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무원들도 시민들의 요구에 맞춰 종전의 관습이나 방침을 깰 수 있는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고 했다.
신 위원이 이들 집단을 조율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객관성’과 ‘형평성’이다. 신 위원 개인의 생각이 들어가거나 지나치게 어느 개인의 목소리만 담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는 “중간에서 중심을 잘 잡기 위해 합의 과정에서 ‘나’의 생각이나 의견은 최대한 배제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견을 내는 시민들 사이에서도 사회적인 역할 등에 따라 권력관계가 생기는 경향이 있기에 최대한 다양한 의견을 균형있게 전할 수 있게끔 신경쓴다”고 덧붙였다.
신 위원의 목표는 앞으로 더 많은 논의와 합의가 이뤄지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그는 “그동안의 사회는 투쟁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고 변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지만, 이제는 시민과 정부의 협력관계가 더 중요한 시점”이라며 “모두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정책은 불가능해도 절충안을 만드는 역할을 계속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