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으면 지원할 수 있다고 해 지원해봤지만, 경쟁률이 쎄서 제게는 기회조차 오지 않네요.”
인천 부평구에 사는 A씨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었다. 취업을 위해 올해 1월 정부지원 공공일자리 사업에 지원했지만, 일자리를 얻지 못했다. A씨는 “소득만 낮으면 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닌 것 같다”며 “우리 같은 사람을 위해 일자리를 좀 늘려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천 기초자치단체의 공공일자리 얻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지난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마련한 희망근로 관련 예산이 올해 대폭 줄면서 공공일자리도 급감해서다.
16일 인천 기초단체에 따르면 인천의 공공일자리는 환경정비 등을 담당하는 공공근로와 코로나19 생활방역 등을 담당하는 희망근로로 구분한다.
부평구는 올해 공공근로 84명 모집에 1천624명이 지원하며 19.3대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희망근로는 300명 모집에 1천380명이 지원하며 4.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남동구는 공공근로 16.5대 1, 희망근로 3.1대 1의 경쟁률 기록했다. 계양구는 공공근로 15.6대 1, 희망근로 3.3대 1이다.
공공일자리 사업의 경쟁률이 높아진 건 코로나19로 실업자 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인천지역의 실업급여 신청자 수는 8만8천495명으로 지난 2019년 7만2천279명보다 22.4% 증가하는 등 실업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희망근로 사업예산을 줄여 고용 불안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코로나19 방역 일자리 등 희망근로에 1조2천865억원을 투입했지만, 올해는 2천130억원만 투입했다. 이에 따라 부평구, 남동구 등의 올해 희망근로 관련예산은 지난해의 10% 수준으로 줄었다.
남동구 관계자는 “예산이 줄어 공급도 줄일 수밖에 없다”며 “지원자가 넘쳐 홍보를 줄여야할 판”이라고 했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복지 성격이 큰 사업인 만큼 확대가 필요하다”면서도 “수요가 큰 만큼 지속가능한 일자리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강우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