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지방선거와 함께 치뤄지는 인천시교육감선거가 조기에 과열되는 분위기다. 문재인정부에 대한 ‘내로남불’ 비난이 거세지면서 보수야당의 지지율이 높은 것이 한몫 한다. 일련의 여론조사에서 야권의 대선 주자가 오랫동안 1위를 달리면서 보수정권의 집권 가능성이 한층 높다. 보수진영 후보들의 움직임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정책보다는 후보단일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씁쓸한 모습이다.
지난 18일 보수진영의 모임인 올바른교육사랑실천운동본부는 예비후보 4명과 간담회를 개최하면서 인천의 교육감 보수후보 단일화를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인 일정과 방법까지 논의하는 등 보수후보 단일화에 조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보수진영에서는 내년 인천시교육감선거에서 후보 단일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2018년과 2014년 선거에서 보수 진영의 후보가 난립하면서 진보 진영의 단일 후보에게 연이어 패한 경험에서 나온 전략이다. 정책 경쟁을 기반으로 하는 인천교육의 진정한 발전보다는 정치적 논리로 접근하는 후보들과 진영의 행태들에 유권자들은 실망이 크다.
지방의 중등교육을 책임지는 수장을 뽑는 선거에 기성 정치인들의 접근방법과 같은 정치논리를 앞세우는 후보들과 진영의 자세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보수진영에서 늘 주장하는 교육에서 정치논리 배제와는 상충되기 때문이다. 중등교육에서 전교조 활동의 폐해를 일관되게 주장하면서 교단에서 정치적인 이념 논쟁을 적폐로 예단하고 척결을 주장했지 않은가? 지방선거와 달리 교육감 선거에서 정당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는 현행의 선거제도를 되 짚어봐야 할 것이다. 최고의 교육책임자를 자임하면서 출마를 준비하는 후보자들은 교육감 직선제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 보는 기본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교육감선거의 기본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선거의 기본도 아울러 냉철히 살펴보는 자세가 요구된다. 민주주의에서 선거는 정책을 놓고 펼쳐지는 유권자들의 잔치다. 후보자들은 유권자들의 수요를 제대로 파악해 선택 받을 수 있는 정책을 경쟁적으로 내놓아야 한다. 보수와 진보가 먼저 갈라서고 각 진영에서 후보 단일화를 통해서 정책을 제시하는 것은 유권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것이다.
다양성을 최고의 가치로 인정하는 교육 현장에서는 더욱더 기성 정치의 논리로 정책선거를 방해해서는 안 된다. 보수와 진보의 진영 논리에서 벗어나야 한다. 교육에 진보와 보수가 왜 존재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반문하고 척결하는 데 앞장서는 것부터 실천하기를 기대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