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가짜 수산업자 사건’ 수사가 계속이다. 금품 등을 받은 관계자들이 예외 없이 소환됐다. 이모 부장 검사가 소환돼 조사받았다. 압수수색까지 있었다. 조선일보 이동훈 논설위원도 소환돼 조사받았다. TV조선 엄모 앵커도 소환됐다. 이 위원과 엄 앵커의 혐의는 청탁금지법 위반이다. 차량, 골프채, 금품 등을 받은 혐의다. 직위해제 된 전 포항남부경찰서장 배모 총경도 소환됐다. 지금까지 소환된 인사들만 30여명이 넘는다.
그런데 유독 한 영역만 안 불렀다. 박영수 전 특별검사와 그 의혹 관계자들이다. 그의 연루 의혹이 공개적으로 보도된 건 보름여 전이다. 대당 1억원이 넘는 포르셰 파나메라4 승용차를 제공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수산물 선물 세트를 받았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박 특검이 책임을 지고 지난 7일 사퇴했다. 그가 암묵적으로 시인한 비위만도 앞서 소환된 관계자들의 것에 나을 게 없다. 그런데 이걸 수사하지 않고 시간만 허비했다.
특검이란 신분이 청탁금지법상 공직자에 해당하는지 물었다. 국민권익위원회에 정식으로 유권해석 요청했다. 답변에 며칠이 걸렸고 ‘해당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물론 이 기간 박 전 특검에 대한 수사는 전혀 없었다. 현직 부장검사에 했던 압수수색, 현직 논설위원 등에 대한 소환 조사 등과 대비된다. 경찰은 16일에야 박 전 특검을 입건하면서 사건을 강력범죄수사대에 배당한다고 발표했다. 상대적으로 뒤늦은 수사 개시다.
강제 수사의 기본은 신속성이다. 증거 인멸, 진술 조작 등을 막기 위해서다. 앞선 혐의자 8명은 일찌감치 지난 5월 초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입건됐다. 그런데 박 전 특검만 달랐다. 그 사이 국민 의혹이 커졌다. 포르셰, 선물세트가 전부일까. 더 수사할 건 없을까. 이제 언론이 다른 의혹을 추가하는 상황이다. 박 전 특검이 건국대 이사장과 만찬을 했다고 전해졌다. 건국대가 옵티머스자산운용 투자 관련 수사를 받던 시기다.
잘못이다. 경찰은 특검 신분 조회하느라 시간 허비했다. 권익위는 그걸 해석하는데 시간을 허비했다. 법무부는 그 해석을 두고 망설였다. 박 전 특검에겐 그 시간이 부장검사도, 논설위원도, 총경도 갖지 못한 수사 대비 여유가 됐다. 이걸로도 부족했는지, 박 전 특검이 이런 반박까지 한다고 한다. ‘권익위가 유권해석할 자격 없다.’ 처벌을 최소화하려는 법적 대항이다. 참으로 민망하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탈탈 털 때와 참 다르다.
이러니 많은 국민이 말한다. ‘애초부터 특검 자격 없었다’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